미쳤다는 것은 정체성이 될 수 있을까? (경향)
제목 |
|
저자 |
모하메드 아부엘레일 라셰드 |
분야 |
사회/정치 |
출판 |
오월의봄 (23.06) |
청구기호 |
<책 소개>
‘광기’의 또 다른 이름은 언제나 부정적인 무엇이었다. ‘비정상’ ‘비이성’ 등과 같은 그 명명들은 광기의 이름이자 동시에 낙인이었다. 그러나 광기가 치료 및 교정해야 할 정신질환에 해당한다는 지배적인 정신의학적 관점은 광기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상상력을 강하게 억압한다. 다른 한편, 지배적인 의료적 관점의 반대편에는 ‘정신질환’이라는 낙인과 꼬리표에 맞서 광기의 경험에 귀를 기울이고 그 생생한 언어를 되찾고자 하는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이 있다. ‘매드 프라이드mad pride’ 정신을 바탕으로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각양각색의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 매드운동은 광기의 의료화 흐름에 저항하며 강제치료, 회복을 위한 서비스의 부재, 사회적 낙인 및 차별 등의 문제에 활발히 개입한다.
정신과 의사로서 철학과 인류학을 공부한 저자 모하메드 아부엘레일 라셰드는 ‘미쳤다는 것’, 즉 광기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인정받기 위해 어떤 사회적 요건들이 필요한지 세밀히 논증하고 탐구해나간다. 광기라는 현상을 두고 정신의학과 당사자들의 매드운동이 팽팽히 대립하는 현실은 저자가 이 책을 쓰도록 추동했다. 그는 매드운동과 그 당사자들이 진정한 사회적 인정을 획득하고 자신의 역량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그 운동의 주장은 물론 그에 회의감을 드러내는 정신의학의 관점 모두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 역설한다.
대립하는 두 집단 혹은 관점이 ‘화해의 태도’를 가지고 대화를 시작할 때, 그리고 그 대화를 통해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에 기반한 화해를 이뤄낼 때, 대항적 광기 서사는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우리 모두를 그 ‘대화’로 이끄는 초대장이다.
<출판사 서평>
우리는 국가적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왔는가?
‘미쳤다는 것’을 문화와 정체성의 근거로 재발명하는
흥미진진한 철학적 탐구의 여정
모욕과 낙인을 걷어내는 것 이상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미국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의 핵심 인물인 주디 체임벌린Judi Chambelin은 탐탁지 않은 행동을 가리켜 ‘아프다’거나 ‘미쳤다’고 지칭하는 것이 만연해 있는 사회적 경향성을 지칭하기 위해 정신장애차별주의mentalism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의 의식화는 단지 정신의료 시스템의 영역에 멈추지 않고 환자경험자에 대한 모든 고정관념을 포함하는 거대한 차별의 체계 전체를 문제 삼는다.”... 더보기
Add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