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중앙)

2020-12-16 14:58
postech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이야기는 많다. 그러나 ‘한국어’의 생동성과 그 파란만장한 역사를 체감하려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드문바,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은 근대전환기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어의 생동하는 역사를 돌아보고, 민주적이고 창의적인 공동의 자산으로 우리말을 가꾸기 위한 본격적인 토론의 장을 여는 책이다. 
 

제목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저자

백낙청, 임형택, 정승철, 최경봉

분야

인문

출판

창비(20.09)

 청구기호

PL909 .한16 2020

 

<책 소개>


우리 말글살이의 근현대사를 돌아보며
한국어의 생동하는 앞날을 내다본다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이야기는 많다. 그러나 ‘한국어’의 생동성과 그 파란만장한 역사를 체감하려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드문바,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은 근대전환기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어의 생동하는 역사를 돌아보고, 민주적이고 창의적인 공동의 자산으로 우리말을 가꾸기 위한 본격적인 토론의 장을 여는 책이다. 계간 『창작과비평』의 올해 여름호 ‘대화’를 위한 좌담회에서 출발한 이 책은 한국학·한문학자인 임형택의 제안과 문학평론가이자 영문학자인 백낙청의 구상을 기초로, 각각 방언학과 국어사전학을 전공한 국어학 전문가 정승철 최경봉이 참여하여 지적 교류의 참된 결실을 맺었다.

지금까지 우리 국어학계가 언어형태의 변화에 따라 정태적인 시대구분을 해왔다면, 이 책은 근대전환기 한반도의 현실에 대한 언어적 대응이라는 동태적 관점에서 한국어의 근현대사를 새로이 살펴본다. 한문 전통의 오랜 영향과 그로부터의 탈피, 일제강점기 민족문화운동과 해방 후 국어순화운동, 권위주의 정권의 표준어정책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돌아보는 한편 현행 언어규범의 문제점과 남북 간 언어정책의 과제 등을 살피며 우리말을 둘러싼 첨예한 현안을 짚는다. 한국어의 역사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면서도 당대의 어문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생생한 문헌자료와 ‘부록’을 토대로 거침없이 전개되는 열띤 토론은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동시에 한국어의 다채로운 면모를 접하는 재미를 선사한다. 또다시 찾아온 한글날을 맞이하여 역사의 거친 풍파 속에서도 기적처럼 살아남은 한국어의 역동성을 선명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우리 공동체의 말글살이에 민주적이고 창조적인 생명력을 새로이 불어넣을 책이다.

 

<출판사 서평>


‘근대 한국어’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다
보편사적 ‘근대’ 관점에서 우리 어문생활을 되돌아보기 위하여
 
1장은 국어학계에서 통상적으로 말하는 ‘근대국어’의 개념을 뒤로하고 왜 ‘근대 한국어’라는 개념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다룬다. 지금껏 국어학계에서는 음운, 형태 변화 등의 언어 내적인 변곡점을 기준 삼아 ‘중세국어’ ‘현대국어’ 등의 용어로 시대구분을 해왔다. 참석자들은 이러한 구분이 세계사적 ‘근대’ 개념과 소통할 수 없는, 국어학계에 한해 통용되는 고립적인 개념이라는 데 입을 모은다. ‘근대’를...<더보기>
 

[출처: 교보문고]

Add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