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ontents

검색
졸업을 두 달 앞 둔 대학, 대학원 코스모스 졸업예정자에 대한 도서관 졸업정산 3종 세트를 소개합니다. 지난 6월 1일 포비스 교내회보 등에 학사관리팀에서 졸업정산에 관한 공지가 있었는데요, 그 중 졸업을 위해 도서관에서 처리해야 부분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도서반납    대상 : 8월 졸업예정 대학, 대학원생    방법 : POVIS에 졸업정산신청 및 정산기간 내 모든 대출 도서 반납.    유의사항 : 정산신청이후 대출불가. but 학위수여식 이전까지 출입가능.     문의사항     2. 원문복사    대상 : 8월 졸업예정 대학원생 중 연구비 원문복사???    방법 : 연구비로 신청한 원문복사 정산    유의사항 : 3. 학위논문    대상 : 8월 졸업예정 석사, 박사 학위수여자 전원
2007-06-11 10:25
Comment 0
지난 번 포스트에 이어서 두번째 iGoogle용 포스텍 도서관목록 검색 가젯을 소개합니다. 디자인이나 추가방법이 아주 심플합니다. bitty browser을 이용한 첫번째 방식과 달리 이번 가젯은 검색을 하면 새창에서 검색결과가 나타납니다. 가젯 추가하기 www.igoogle.com에 로그인 상단 우측의 콘텐츠 추가 클릭 검색창에 postech library 입력 POSTECH Library catalog 가젯이 나오면 바로 추가 클릭 가젯 추가 물음에 "예" 클릭 상단 좌측의 홈페이지로 돌아가기 클릭 Google 가젯은 누구나(?)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구글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를 참고하셔서 자기 만의 더 편리한 가젯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2007-06-08 16:48
Comment 0
(주)윕스에서 제공하는 특허검색 데이터베이스인 WIPS의 활용법에 대한 도서관 이용자교육 (강사 : 이호종 과장)이 6/5(화)14:00~15:00 까지 도서관(청암학술정보관) 5층 멀티미디어 교육실에서 실시되었습니다. WIPS(윕스) 특허검색서비스는 전 세계의 특허데이터를 각 국의 특허청으로부터 받아 인터넷에서 서비스함으로써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및 유럽특허의 통합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근 신생 특허기술시장으로 떠오르는 중국특허 및 아시아특허를 중심으로 Database Coverage를 확대하고 있으며 방대한 전 세계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다양한 검색이나 부가 기능을 이용하여 표준화된 형태로 재 가공 또는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의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합니다.   포항공과대학교 구성원들은 도서관홈페이지>전자자료>데이터베이스 알파벳순리스트 기능을 통하여 DB를 이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Proxy 접속도 가능합니다.
2007-06-07 10:07
Comment 0
"Science in Headline"은 National Academy of Scienc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Institution of Medicine,  National Research Council  4개의 organization이 참여하여 과학, 기술에 관한 뉴스를 제공하고, 각 기사에 대한 참고문헌, 링크 등을 제공함으로써 기사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배경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들 각 기관에 속한 과학 기술 전분야의 전문가들은 연구관련 뉴스를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해, 그리고 미국 연방정부에 advice를 제공하기 위해 pro bono로 좋은 정보들을 정기적으로 제공(RSS, Podcast)하고 있다. [#M_Click to see more features..|Close|Continued Importance of Biomarker Research and Development By Christian Dobbins (May 30) : 이 기사는 DNA microarray와 CT scandmf combine하는 컴퓨터모델을 이용하여 기존에 암(cancer)을 진단할 때처럼 종양으로부터 직접 조직을 biopsy(생검)하지 않고, 악성/양성 종양 여부의 판단과 그 진행과정을 예측하고 tracking 할 수 있게 되었다는 보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Institute of Medicine의 최근 연구(Cancer Biomarker)관련 책정보와 본문 중의 DNA microarray에 관한 설명을 제공하는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Web page로의 링크를 제공한다._M#] * Sounds of Science  * News from the National Academies * National Academy News Feeds (RSS)
2007-06-05 20:05
Comment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해외 주요국가들의 과학기술분야 동향정보를 『글로벌동향브리핑(GTB : Global Trends Briefing)』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GTB는 과학기술분야 주요 해외사이트, 전문학술지, 분석보고서, 기술동향 리뷰, 신문 등에 게재되는 과학기술동향정보는 물론이고 미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미래예측정보, 유망기술의 산업 및 시장 정보, 기술가치의 극대화를 위한 지식재산권 관련 정보 등을 제공중에 있습니다. 주요국가별 주재원을 비롯해 과학기술정책, 항공우주, IT, BT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100여명의 지식정보 제공자가 매일 실시간으로 등록하는 GTB 정보는 KISTI 회원 ID로 로그인하면 정보분석센터 사이트(http://radar.yeskisti.net)에서 무료로 제공합니다. GTB 정보를 좀더 신속하고 편리하게 받고 싶은 분은 한번만 KISTI의 『GTB 메일링서비스』를 방문해 관심분야를 선택한 후 하단에 있는    버튼을 누르시면 매일 맞춤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RSS도 지원하고 있습니다.이미지 출처 : KISTI  
2007-06-05 10:05
Comment 0
요즘 WZD, Netvibes, iGoogle 등과 같이 RSS리더기 역할을 하는 개인화페이지 서비스들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인 iGoogle(구글 개인화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서관목록검색 가젯 추가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포스텍 도서관 웹서비스 중에는 PDA용 목록검색 인터페이스인 Airpac이 있습니다. 그리고 구글 가젯 중에는 미니 브라우져인 bitty browser가 있습니다. 이 둘을 이용하면 포스텍 도서관목록 검색을 iGoogle안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일단은 구글 계정이 있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아래 동영상과 설명을 참고하세요. 1. 우측 상단에서 "컨텐츠 추가" 클릭2. 검색창에 "bitty browser" 입력3. 나온 결과에서 "바로추가" 버튼 클릭4. 가젯 추가 물음에 "예" 클릭5. 좌측 상단에 "홈페이지로 돌아가기" 클릭6. bitty browser 가젯에서 ↓ 버튼을 누른 후 설정 변경하기 클릭7. Home page 항목에서 Web site URL 선택8. 밑의 빈 주소란에 http://opac.postech.ac.kr:6060/airpac 입력 후 저장9. 검색 수행※ Airpac에서는 검색과 결과보기만 가능합니다. 예약 등의 기능은 아직 구현되지 않습니다.
2007-06-01 17:23
Comment 0
지난번 Knovel 퀴즈 이벤트의 정답과 당첨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출판사의 공지사항을 보니 전세계 46개국에서 90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고 합니다. 아쉽지만 포스텍에서는 당첨자가 나오지 않았네요 T.TMIT 도서관 블로그를 보니 8개 중 1개의 iPod은 MIT 재료공학과 학부생에게로 갔네요. 암튼, 추카추카아래 정답 맞춰보시고 Knovel ebook 많이 많이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M_정답 보기 (클릭)|닫기 | Tylenol is a common drug that is used for the relief of fever, headaches, and other minor aches and pains. Using Knovel, find the CAS Registry Number. 103-90-2 What is the molecular formula of caffeine? C8H10N4O2 Using Knovel Critical Tables and the equation plotter, find the vapor pressure of ammonium bromide at 594.3 K. (3 significant digits) 0.138 bar What is the water solubility of 1-Octanol? 540 mg/k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ilver Chloride at maximum temperature is 0.00563 W/m K. Using the Unit Converter; find the maximum temperature Btu/h ft °F? 0.003253_M#] <Knovel DB소개> Knovel은 McGraw Hill, Elsevier등 40여개의 유명출판사로 부터 공학분야와 관련한 eBook 900 여종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각 Title별로 제공되는 원문외에도 그래프, 테이블, 화학반응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7-05-31 18:04
Comment 0
가장 권위있고 가장 망라적인 영어사전을 꼽으라면 단연 Oxford English Dictionary(OED)를 거론할 것이다. 영국에서 영어사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OED의 초판이 만들어지기까지 70여년의 세월과 노력이 필요했다. 1857년에 작업이 시작되었고 영어의 모든 단어들을 수집하고 정의하는 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어떻게 문장속에서 사용되는지 실제 인용 예문을 찾는 작업이 더해졌기 때문에 1928년 초판이 완성될 때까지 70년이라는 세월뿐만 아니라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있어야 했다. 지금처럼 네트워크가 발달하고 누구나 위키피디아와 같은 백과사전 만들기에 참여하기가 쉬운 오늘에서 과거를 바라볼 때 이 사전의 작업은 얼마나 지난하고 끈기가 필요한 작업이었는지 감히 짐작하기도 어렵다. 이 초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중에는 미국인으로 정신병때문에 살인죄를 저지른 Dr. W.C. Minor라는 사람이 있었다. 이 광인은 정신병원인 수용원에서 편지를 통해 사전 책임 편집자인 James Murray에게 20년 동안 많은 도움을 주었고 이 실화는 너무도 유명해서 <교수와 광인>이라는 책으로 나와 베스트셀러가 된 적도 있다.OED의 앞부분에는 편찬과정의 역사적인 내용을 기술한 Historical introduction 부분이 있다. 여기에는 공로자들의 명단이 있는데 우측 칼럼 제일 밑에 Dr. W. C. Minor라는  이름을 발견할 수 있다.<교수와 광인>이라는 책외에도 같은 작가가 쓴 <영어의 탄생 : 옥스퍼드 영어사전 만들기 70년의 역사 >이라는 책도 OED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이렇게 유서깊은 OED는 오랜동안 도서관의 필수장서가 되었다. 20권이라는 엄청난 분량과 새로만들어지는 단어의 추가로 이제는 인쇄본에서 온라인으로 한단계 더 진화하게 되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국가라이선스로 OED online을 구독하고 있다. 우리학교 안에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가 있다. 다만,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무료 가입을 한 후에 이용이 가능하다.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OED는 단어의 정의 뿐만 아니라 어원과 시대별 다양한 인용문을 찾아 볼 수 있다. 온라인 버전이기 때문에 풀텍스트 검색을 할 수 있어 다양하게 단어를 찾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ED에 수록된 한국어를 찾아보았는데 20개를 넘지 못하고 있다. 흔히 알고 있는 태권도(tae kwon do), 김치(kimchi), 원(won), 한글(hangul) 이외에도 기생(kisaeng), 양반(yangban), 막걸리(makkoli), 합기도(hapkido), 온돌(ondol), 시조(sijo) 등의 단어가 올라와 있었다.  최근에는 RSS를 통해서 하루에 한 단어씩 공부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OED Word of the Day by RSS feed아이러니하게도 영어는 한국인에게 있어 국어공부시간보다도 많은 시간이 투자되는 과목이다. OED를 통해서 영어와 더 깊이있게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OED Online 검색시 아래 자료 참고하세요. Brochure Quick Reference Guide to OED Online
2007-05-30 11:25
Comment 0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올해로 20주년이 된다고 합니다. (축하! 짝짝짝)이 기관은 정부 출연기관으로 과학기술정책을 연구하고 전략을 제시하는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발행되는 연구 보고서는 정책연구, 정책자료, 조사연구(자료) 3가지가 있으며,  정기간행물은 두 달에 한번씩 발간되는 『과학기술정책』지와 1년에 두 번 발간되는 『기술혁신연구』지가 있습니다. 최근 자료들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자료를 손쉽게 찾기위해서 보고서 통합검색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자료중 이공계 졸업자의 취업에 관련한 보고서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05-28 13:00
Comment 0
10시간 전 그대가 밝힌 불빛. 5월의 마지막 주, 또 다른 한 주의 시작을 축하합니다.
2007-05-28 09:03
Comment 0

Pages

Subscribe to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