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ontents

검색
한동안 찌푸리고 비까지 뿌렸던 하늘이 금요일인 오늘은 맑음입니다. 주말에도 오늘처럼 좋은 날씨라고 하니 가까운 곳으로 나들이를 계획해 봅니다. 이번엔 자전거로 어떨까요? ㅎㅎ 오늘은 자전거와 관련한 책/잡지를 몇 권 소개합니다. 특히, 포항/경주/영덕 등 자전거 코스를 소개하고 있는 자료를 위주로 했습니다. 소개한 자료를 보시려면 도서관으로 오세요 ^^ 자전거 주차장소는 도서관 정문 오른편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STEP 1: 자전거 알기 제목: 자전거의 역사 : 두 바퀴에 실린 신화와 열정 저자: 프란체스코 바로니(Baroni, Francesco) 출판사: 위즈덤하우스, 2008 청구기호: TL410 .B376 2008 다양한 자전거의 종류 등 자전거의 역사와 세계적인 자전거 관련 행사들까지 담고 있는 거대한(?) 책입니다. 자전거를 타기 위해 역사까지 알아야 할 필요는 없겠지만 ㅋ 교육(?)용으로 좋은 자료 같습니다! 도로교통 법 상의 자전거 운행 자전거는 자동차, 원동기와 마찬가지로 '차'로 분류되고 있으며 도로교통 법의 적용을 받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저지르는(?) 인도에서의 주행, 반대편 차도로 운행하는 역주행, 횡단보도 주행은 모두 불법이며 만약 사고가 있을 경우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군요. 도서관 앞의 인도에 주차된 자전거는 '불법주차'로 견인될 수 있으니 꼭 마련된 자전거 전용 주차 장소를 이용해주세요. 자세한 법률에 관한 내용은 '국회법률지식시스템' 홈페이지를 참고하셔서 안전 운전하세요! 도로교통법 : [일부개정 2008.06.13 법률 제9115호]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 [(타)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52호] STEP 2: 자전거로 여행하기(국내) 제목: 자전거 여행(김훈 에세이) 저자: 김훈 출판사: 생각의 나무, 2004 청구기호: PL959.55.김965 .자74 2004 이제는 '자전거 타는 작가'라는 이름이 익숙한  김훈이 전국 30곳을 돌아보면 쓴 에세이 '자전거 여행'. 포항의 영일만은 '태양보다 밝은 노동의 등불'로 표현되어, 오징어잡이 어선들이 밝힌 겨울바다 사진과 함께 소개되어 있습니다. 아쉽게 2권은 도서관에 아직 소장되어 있지 않네요. STEP 3: 자전거로 여행하기(국외) 제목: 떠나라, 자전거 타고 지구 한바퀴 시리즈 저자: 이시다 유스케 출판사: 홍익출판사, 2005-2006 청구기호: G440.I8 .가45 2005              G440.I8 .세14 2005              G475 .석74 2006 개인적으로 참 재미있게 읽은 시리즈. '가보기 전엔 죽지 마라',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화장실과 가장 멋진 별밤', '맛보기 전엔 죽지 마라'는 한 일본인 청년이 자전거로 전세계를 여행하며 쓴 책입니다. 특히 첫 번째 권을 읽으면서는 '죽기 전에 정말 꼭 떠나보리라'는 다짐을 해보게 되지요. 물론, 자전거로는 많이 힘들겠지만 ^^; 자전거생활(바이시클라이프) 우리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교양잡지도 구독하고 있습니다. 이용자의 관심사가 넓어지면서 지난 2007년부터는 '월간 자전거생활'도 보고 있습니다. 가장 최신호는 2층 신착코너에, 나머지는 4층 현행지 코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009.1월(No.80) 전국 해변코스 베스트10의 4번째로 영덕 상축해안도로가 선정되었습니다. 영덕 대게로 유명한 강구항에서 출발하여 풍력발전소가 있는 해맞이 공원, 축산을 거쳐 대진해수욕장까지의 코스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강구에서 해맞이공원까지의 왕복 28km만 해도 훌륭할 것 같네요 ^^ 2009.2월(No.81) 전국 산악코스 베스트10의 10번째로 포항의 호미곶이 선정되었습니다. 상정리에서 시작하여 대보면을 거쳐 산악코스를 달린 후, 호미곶에서 다시 해안을 따라 달리는 총 37km(4시간 소요)의 코스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대보면의 보리밭이 푸른 봄에 여행하면 더 없이 좋을 것 같군요! STEP 4:  자전거 고치기(정비하기) 제목: MTB 정비가이드(Mountian bike maintenance : the illustrated manual) 저자: 멜 알우드(Allwood, Mel) 출판사: 삼호미디어 2007 청구기호: TL430 .A43 2007 브레이크, 변속장치, 바퀴 등 산악자전거의 정비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이 사진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특히, 비상 시에 수리하는 방법을 소개한 두번째 챕터가 유용할 것 같습니다. 제목: (사진보고 따라하는)자전거정비 저자: 자전거생활 편집부, 한국자전거미캐닉협회 [공]집필 출판사: BL 프레스: 자전거 생활, 2007 청구기호: TL430 .한16 2007 이 책도 마찬가지로 사진을 바탕으로 정비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관련 명칭과 용어가 잘 정리되어 있고 세차 방법 등 일상생활에서 관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서관에 소장된 '자전거'에 관한 다른 자료를 검색하시려면 키워드 검색에서 '자전거'를 입력하시거나 아래 청구기호에서 브라우징해 보세요. 기술 혹은 도구로서의 자전거  T : Technology(기술과학)   TL : Motor vehicles. Aeronautics. Astronautics(운송수단, 탈것)    TL400-460 : Cycles(사이클)     TL410-438 : Bicycles and tricycles(자전거)       스포츠 혹은 취미활동으로서의 자전거  G : Geography(지리)   GV : Recreation. Leisure(레져)    GV561-1198.995 : Sports(스포츠)     GV1040-1059 : Cycling. Bicycling(자전거) '인생은 자전거를 타는것과 같다. 당신이 계속 페달을 밝는 한 당신은 넘어질 염려가 없다.' -클리우드 페페-
2009-03-06 10:34
Comment 0
지난 2월부터 새로워진 'Web Of Knowledge'의 업그레이드 내용을 소개합니다. 1.  Funding Acknowledgement  2008년 8월 이후의 논문부터는 연구비/재원에 대한 Funding 정보를 다른 서지사항과 함께 보실 수 있으며, 연구비 지원 기관이나 승인 번호로 검색까지 가능합니다. Endnote로의 Export도 물론 가능합니다. 2. Search History Table  검색 히스토리 기능에 초기 검색어 저장뿐 아니라 재검색(Refine)이나 분석(Analyze)를 통해 걸러진 검색식까지도 함께 저장이 가능해졌습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이었는데, 이제 Refine/Analyze을 포함한 Alert 생성도 가능하겠군요! Good! 3. Editor Field 저자(Author)와 편집자(Editor)를 구분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검색결과에서도 두 개의 필드가 구분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그 밖에 오랜만에 들러 본 Citation Map 기능에서도 조금 달라진 모습이 보이네요. 지난 2월 새로워진 Web Oc Science의 내용은 아래 5분 분량의 한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으로 확인하기 관련 포스팅 보기 [Citation Map] 그 많은 내 논문 누가 다 옮겼을까? 2009 2월 JCR이 업그래이드되었습니다.
2009-03-03 11:19
Comment 0
봄길을 따라 걸었습니다. 저 길 끝에 무엇이 있을까요. 아지랑이 피어오르는 그 길 끝에 내가 걸어가야할 길이 기다리네요. 길가에 그대같이 노란 웃음짓는 봄속으로 민들레보다 더 가벼운 걸음으로 함께 걸어가요. 봄바람과 따뜻해진 햇살에 3월이 시작되었습니다. 벌써 하나둘씩 새내기들이 도서관으로 찾아오고 있네요. 봄내음의 풋풋한 그대들이 무척 보고싶습니다. 이번 바탕화면 달력은 Flickr의 extranoise님 사진으로 꾸며보았습니다. 3월 부터 도서관과 친해지는 습관, 어떨까요 ? 2월 포스팅 모음 포도툴바에서 신착도서 정보를 확인하세요. | 2009/02/26 웹 세계대학순위 2009년 1월 업데이트 (2) | 2009/02/25 토익킹이 3월호 부터 둥글해져요 (2) | 2009/02/24 무료 의학 백과사전, Medpedia | 2009/02/23 2009년 2월 JCR이 업그래이드되었습니다. (2) | 2009/02/19 토익(TOEIC) 답안지 활용하세요. (2) | 2009/02/12 Web of Science에서 당신을 찾을 수 없습니다 (2) | 2009/02/11 독서가 싫다면 청서(?)하라. | 2009/02/09 [KOCW] 국내대학 무료 동영상 강의를 만나보자. | 2009/02/05 SciFinder Scholar 2006 사용 중단 안내 | 2009/02/04 [2월 달력] 입춘이 내일 모레 | 2009/02/02
2009-03-02 10:28
Comment 1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2번째 툴바인 포도툴바의 컨텐츠들을 보강했습니다. 새로운 기능과 함께하시기 바랍니다. download 포스텍 도서관 툴바 = 포도툴바 1. 검색엔진에 야후 Oxford 영어사전을 추가했습니다. 다양한 예문이 있어서 영어단어를 찾을 때 좋더라구요. 2. RSS리더기 폴더에 도서관 신착도서 피드를 추가했습니다. 툴바에서 도서관 소식과 함께 신착도서도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다양한 기능은 아래 동영상으로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_Movie|YHgmW4BQQ6c$|http://cfs3.flvs.daum.net/files/86/6/17/30/18043364/thumb.jpg_##] 관련글 2008/11/09 - [서비스] - 포스텍 도서관 다기능 툴바 "포도툴" 다운받으세요 2008/06/03 - [Database] - IEEE Xplore 툴바 & RSS 2007/12/18 - [서비스] - 도서관툴바 LibX 배포 (IE용) 2007/11/06 - [정보] - 시원한 툴바 하나 드세요. 2007/02/02 - [Database] - [정보] 특허청, 무료 특허검색툴바 제공
2009-02-26 17:03
Comment 0
웹상에 노출된 정보를 계량적으로 조사해서 순위를 결정하는 Webometrics의 세계대학순위가 2008년 7월판으로 업데이트되었다. POSTECH은 작년과 비교해 세계 637위(아시아 47위)에서 세계 518위(아시아 39위)로 다소 상향조정되었다. Webometrics Rank를 통해 대륙별, 국가별, 대학별 순위를 알아 볼 수 있는데 전 세계 대학의 랭킹에서 미국의 대학들이 1위~25위 까지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MIT가 1위(작년 2위), Harvard가 2위(작년 4위), Stanford Univ.(작년 1위)가 3위,  UC Berkeley가 4위(작년 3위)의 순으로 서로간 자리바꿈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대학중에는 KAIST가 309위(작년 260위), 서울대학교가 332위(작년 314위), POSTECH이 518위(작년 637위)에 랭크되어 있다. 아시아 지역으로 제한하여 대학별 순위를 살펴 보면 Univ. of Tokyo가 1위, National Taiwan Univ.가 2위, Kyoto Univ.가 3위, National Univeristy of Singgapore이 4위, Beijing Univ.가 5위에 올라 있고 우리나라의 KAIST가 19위(작년 11위), 서울대학교가 22위(작년 17위), POSTECH이 39위(작년 47위)에 랭크되어 있다. [#M_ ASIA TOP 100 (클릭) | less.. | CONTINENT RANK UNIVERSITY COUNTRY WORLD RANK             1 University of Tokyo 54   2 National Taiwan University 70   3 Kyoto University 89   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11   5 Beijing University 112   6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23   7 University of Hong Kong 148   8 Keio University 165   9 University of Tsukuba 234   10 Tsinghua University China 238   11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239   12 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242   13 Nagoya University 256   14 Osaka University 266   15 Tohoku University 284   16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285   17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307   18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308   1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309   20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310   21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312   22 Seoul National University 332   23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of China 334   24 ZheJiang University 337   25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Taiwan 338   26 Kyushu University 363   27 National Central University 373   28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384   29 Kobe University 394   30 Fudan University 418   31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438   32 Chulalongkorn University 444   33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456   34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474   35 Ritsumeikan University 482   36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486   37 United Nations University 498   38 Tamkang University 509   39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518   40 National Chung Cheng University 519   41 Hiroshima University 524   42 Nanjing University 529   43 Shandong University 541   44 Kasetsart University 544   45 I-Shou University 559   46 Wuhan University 570   47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573   48 Indian Institute of Science Bangalore 605   4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607   50 Korea University 630   51 Nankai University 643   52 Tokyo University of Science (Note 29) 646   53 Jap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668   54 Yonsei University 676   55 Xiamen University 691   56 Beijing Normal University 694   57 National Chung Hsing University 707   58 Hosei University 711   59 Waseda University 718   60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736   61 Mahidol University 740   62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Thailand 741   63 University of Electro-Communications 753   64 Xi'An Jiaotong University 769   65 Nar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774   66 Fu Jen Catholic University 777   67 Doshisha University 778   68 Renmin University of China 779   69 Yamagata University 780   70 Providence University 787   71 Okayama University 789   72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794   73 Tokai University 812   74 Gadjah Mada University 819   75 Feng Chia University 821   76 Yuan Ze University 823   77 Ryukoku University 825   78 Institute of Technology Bandung 826   79 Nihon University 828   80 Shinshu University 832   81 Gunma University 834   82 Pusan National University 844   83 Niigata University 847   84 Thammasat University 850   85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859   86 Hanyang University 871   87 University of Tokushima 875   88 Chiang Mai University 877   89 Tunghai University 888   90 Mie University 897   91 Meiji University 901   92 Tongji University 911   93 Chiba University 916   94 Sungkyunkwan University 920   95 Assumption University of Thailand 921   96 Nagaoka University of Technology 926   97 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929   98 Khon Kaen University 937   99 Gifu University 946   100 Shih Hsin University 947 _M#] 출처 : World Universites' Ranking on the Web 관련글 : 2008/01/07 - [정보] - Webometrics 세계 대학 순위를 아십니까?
2009-02-25 11:42
Comment 1
오랜만에 영어공부를 하려고 하니 매체가 시대를 못따라오네요. 라디오토익인 토익킹은 부록이 녹음테잎으로 되어 있어서 간만에 집안 구석에 애물단지같았던 카세트 플레이어를 다시 꺼내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디 MP3로 된 것이 없을까 수소문한 끝에 두산동아 출판사 사이트에서 EBS 라디오 교재들의 MP3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이것들을 합법 다운로드 받아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다운로드는 회원가입을 해야 하네요. 참고로 라디오토익 3월호 부터는 네모난 부록 테잎이 둥근 CD로 바뀐다고 하니 좀 더 공부하기가 수월해지겠습니다. 가능하면 과월호 방송분도 같이 제공하면 좋을텐데 아쉽네요. 매주 일요일날 일주일치를 방송하니 이걸 녹음해야겠군요. 지난번에 제공한 답안지 양식과 MP3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어학교양지는 2층 신문서가 옆에 있으니까 잘 찾아서 활용하시구요. 딸려오는 CD나 테잎은 2층 데스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 2009/02/12 - [서비스] - 토익(TOEIC) 답안지 활용하세요. 2009/01/15 - [정보] - 참여하는 웹2.0시대의 어학공부
2009-02-25 00:21
Comment 1
웹2.0의 시대를 통해서 준전문가들이 어느정도 자신들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전문가들도 웹2.0의 기술과 문화를 통해서 더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의학분야의 위키피디아인 메드피디아는 의사와 생의학분야의 박사들이 컨텐츠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베타로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의학정보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 일반인들이 만들어가는 위키는 신뢰성과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컨텐츠를 편집하고 일반인들이 내용을 열람하고 문제점을 제기하는 형식의 메드피디아는 보다 신뢰감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더욱이 외국의 유수한 의대와의 연계는 더욱 신뢰감을 줍니다. 건강정보와 의학정보 및 신체 관련 정보들이 계속 쌓여가고 있습니다. 이 위키백과사전을 통해서 건강한 정보, 건강한 신체를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 2009/01/12 - [정보] - 업그래이드된 백과사전, 비주얼위키피디아 2008/05/19 - [정보] - 과학자가 쓰는 위키사이트 SCIRUS topic pages
2009-02-23 11:31
Comment 0
해외 대학들의 무료 공개강좌가 부러웠는데 국내에서도 차츰 이런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네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는 국내외 이러닝 강의자료를 KOCW(Korea Open Course Ware)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료량은 아직 많지 않지만 벌써 40여개의 대학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대학은 경희대, 고려대, 전북대 등이 있네요. KERIS에서는 교수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지에 의하면 우수 강의 동영상 촬영을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관심있는 교수님들은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M_KERIS 공지|less..| 우수 강의 동영상 촬영 지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는 대학의 우수한 강의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유함으로써 강의의 탁월성을 널리 알리고 학습자에게 보다 폭넓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출연기구로 교육정보화를 통한 공교육 강화, 고등교육 및 학술연구정보화를 통한 국가 연구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제공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로는 국내외 연구성과물을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http://www.riss4u.net)국내외 이러닝 강의자료를 제공하는 고등교육교수학습자료서비스(KOCW, http://www.kocw.net)와 초중고등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에듀넷(Edunet, http://www.edunet.net))이 있습니다. 동영상 강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 http://www.kocw.net) 사이트를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학습자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관심 분야 주제를 함께 학습하고자 하는 동료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해당 강의 및 관련 내용에 대하여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에 IPTV를 통해서도 해당 강의 서비스가 제공될 것입니다. 보다 다양한 학습자들에게 고등 교육 수학의 기회를 제공하여 평등한 배움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이번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우수 공동 활용 강의에 대해서는 향후 포상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인센티브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 신청 자격 : 대학/전문대학 시간강사 이상 ◉ 강의 개설 : 2009년 1/2학기 ◉ 신청 기간 : 2009년 2월 2일(월) ~ 2월 13일(금) 18:00까지 ◉ 신청 방법 : 신청서를 다운로드받아 작성한 후 강의계획서와 함께 이메일 혹은 팩스로 신청 - 이메일 : kocw@keris.or.kr - 팩스 : 02-2278-4342 ◉ 문의 : 이수지(02-2118-1404, soojlee@keris.or.kr ◉ 선정 결과 : 2월 17일(화) 개별적으로 이메일 및 유선으로 통보해드립니다. ※ [신청서 다운로드] - 강의 촬영 및 기타 세부 사항에 대한 논의는 2월 19일(목) 14:0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3층 회의실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 신청인이 많을 경우 선착순으로 지원해드립니다. 출처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_M#] 몇개의 강좌를 들어봤습니다. 공개강좌이다보니 사적인 얘기를 하기가 쉽지 않죠. 어떤 교수님은 서두에 양해를 구하고 계시네요. 다음과 같이... 유래없이 제일 재미없는 강좌를 듣게 될겁니다. ㅎㅎㅎ
2009-02-22 11:48
Comment 1
지난주 부터 도서관 직원들은 무척이나 분주했습니다. 늘 그렇듯이 데이터 만지는 일로 손가락들이 노역을 하고 있죠. 다름아니라 포스텍 교수님들의 연구실적을 DB화하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도서관 정보서비스팀에서 교수님들의 연구실적을 DB로 관리하는 업무를 연구팀으로 부터 이관받았습니다.과학기술분야의 논문 업적평가는 SCI급의 저널인가와 해당 저널의 Impact Factor값으로 가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Web of Science와 JCR이라는 툴을 활용합니다. JCR은 Journal Citation Reports의 약자로 SCI급 저널들의 Impact Factor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2009년 2월에 JCR의 업그래이드가 이루어졌습니다. 아래에 내용을 요약해보겠습니다.Impact Factor 강화 (5-year impact factor)Impact Factor는 지난 2년간의 피인용회수에 근거해서 값이 산정됩니다. 하지만 이번에 지난 5년간의 피인용회수에 근거한 항목이 새로이 추가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저널의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명과학분야는 논문 발표후에 빠르게 인용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수학이나 경제학 분야는 느리고 완만하게 인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야별 인용특성을 고려한 5년치의 IF 추가는 전보다 공정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저널 카테고리별 순위표 (Rank in category table)다학제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 현실을 반영해서 인지 여러가지 주제를 담고있는 저널의 경우에는 각각 주제 카테고리별로 순위를 보실 수 있습니다.상자도표 (Box Plots)카테고리별 순위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box plots를 도입했습니다. 주제별로 각 저널들의 IF를 기준으로 주제별 저널 전체 분포속에서 해당 저널이 어느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자기인용율(self-citation rate)저널별로 자기인용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인용이란 본인의 과거  논문을 자신의 논문에 인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피인용이라는 것은 남들이 얼마나 인용했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엄밀히는 자신이 인용한 자기인용은 공제해야 정확한 IF를 나타낼 수 있겠죠. 자기인용을 제외한 Impact Factor값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EigenFactor (TM)와 ArticleInfluence(TM) 도입EigenFactor은 비영리 학술 프로젝트로 워싱턴대의 생물학과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슬라이드 참고하세요. 제가 개념이 잡히면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다양한 지표의 추가를 통해서 그동안 학분분야별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었습니다. 학문이 복잡해지고 다원화되어 갈수록 이런 평가지표도 함께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2009-02-19 11:46
Comment 1
함께 읽는 도서관 자료에 메모나 낙서를 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특히, 교재/문제풀이집에 답을 표시하는 분들도 있어 오래 함께 봐야할 자료가 일회용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토익관련 책들이 대표적인 피해자(?)들입니다. 그리하여 토익책 구출작전의 일환으로 야심차게(!) 준비한 "Answer Sheet"를 공개합니다. 시험을 앞두고 계신 분들은 PDF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모의고사에 활용하세요 ^^ 2층 정보서비스 데스크 앞에 용지를 앞뒤로 인쇄해 두었습니다. 도서관에서 공부하실 때 사용하세요.
2009-02-15 10:50
Comment 3

Pages

Subscribe to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