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ontents

검색
작년에는 광우병의 공포가 대한민국을 온통 들끓게 했었죠. 다행스럽게도 광우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스텍에서 열게 되었다는 기쁜 소식입니다. 아래에 보도자료 참고하세요. 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 [#M_ 보도자료 (클릭) | less.. |  2000년대 초 영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지난 해 국내에서 최대의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던 ‘광우병(Mad Cow disease)’.  이 광우병을 잠복기에 미리 진단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료의 가능성까지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포스텍 황대희(黃大熙, 37세) 교수・조지훈 박사(32세)팀은 미국 시스템생명과학연구소 (Institute for Systems Biology・이하 ISB), 맥로린 연구소(McLaughlin Research Institute),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광우병 (Mad Cow disease)’ 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핵심 유전자 군을 선별해냈으며, 이들을 이용해 광우병 조기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2002년부터 진행된 이 연구의 결과가 세계적인 과학전문 저널 ‘네이처’의 자매지인 ‘몰레큘러 시스템즈 바이올로지(Molecular Systems Biology)’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다른 다섯 종류의 쥐에, 양과 소에서 추출한 두 종류의 프리온(prion)*을 감염시킨 뒤 병의 진행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생겨난 약 3,000만 데이터 값을 분석하고, 나아가 광우병을 유발 진행시키면서 마지막 단계인 신경퇴행에까지 주요한 역할을 하는 333개의 핵심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이들 유전자들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광우병의 발병과 신경의 퇴행, 사멸의 분자유전학적 메커니즘(기작・mechanism)을 밝혀냈다.    특히 연구팀은 광우병에 감염된 쥐가 증상을 보이지 않는 감염 초기(8~12주)에, 발현이 늘어나는 면역・콜레스테롤・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스(GAGs)*・스핑고지질* 같은 대사관련 핵심 유전자들을 선별해냄으로써, 이들을 이용한 광우병의 조기진단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 광우병의 유발과 진행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밝혀내, 이 질병들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가능성도 열었다.    이번 연구는 광우병의 직접적 원인인 프리온 유전자(Prnp)와 단백질(PrPSc) 연구에 집중되어 온 기존의 연구 패턴에서, 그 대상을 확대하여 프리온 단백질 축적에 용이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감염 초기에 활성화되는 다른 유전자들과 그 상호작용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광우병 진단에 이들 유전자 연구를 도입하면, 프리온 단백질을 측정하는 데 그치는 현재의 광우병 진단법과는 달리 조기에 병을 진단해낼 수 있게 된다.    황 교수팀은 이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ISB 등 공동연구팀과 함께 프리온에 감염될 수 있는 뇌의 중추신경계 줄기세포인 뉴로스피어(neurosphere) 세포모델을 이용하여 쥐의 체내 333 핵심 유전자들에 의해 일어나는 광우병 발병 과정에서의 뉴로스피어 세포가 하는 역할을 심도있게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포스텍 황대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생물학적 방법은 암, 퇴행성뇌질환, 자가면역질환, 심혈관계질환, 감염질환 등과 같은 다른 난치성 질병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 연구를 응용하면 각 질병의 발병과 진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에 대한 선별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덧붙여 “병의 원인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진단, 그리고 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  ※ 프리온(prion) 단백질  프리온 단백질은 (PrPSc) 세포내에 존재하는 정상 프리온 단백질의 (PrPC) 이상구조 형태로, 이 프리온 단백질이 (PrPSc) 정상 단백질과 (PrPC) 접촉하게 되면 정상 단백질을 (PrPC) 비정상 단백질로 (PrPSc) 전환시키는 감염물질이다  프리온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을 (예를 들면 광우병 감염된 동물의 뇌 또는 척수) 섭취하면 프리온 단백질은 위에서 흡수되어 피를 따라 돌다가 Spleen에서 면역세포, 말초신경세포, 척수의 중추신경세포, 뇌의 신경세포로 전달된다.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GAGs)  크게 5종류로 나뉘며 이들 물질은 단백질과 연결되거나 상호작용하면서 다양한 생명현상에 관계하고 있어 생명 현상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다. 이 물질은 광우병에서 비정상적 프리온 단백질(PrPSc)의 수용체로, 뇌의 프리온 단백질 축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핑고지질(Sphingolipids)  세포막의 신호전달이 일어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지질의 종류로 이 부분에서 정상적 단백질이 비정상적 프리온 단백질로 전환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_M#] 수록 저널 정보 : Molecular Systems Biology Nature출판사와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EMBO)에서 2005년 부터 발간하는 온라인 오픈액세스 저널입니다. 인쇄저널로는 나오지 않고 온라인으로만 출판되며 오픈액세스 저널이기 때문에 CCL에 따라 모든 사람이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를 위해서는 저자가 논문출판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이 저널의 경우에는 논문당 $3,000을 부담해야하는군요. 그대신 무료로 다른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성과들이 폭넓게 보급되고 더불어 피인용의 기회도 높아지는 장점을 가지게 됩니다. 좋은 연구하고 안 알려지는 것처럼 억울한 건 없겠죠. Molecular System Biology는 최근 Impact Factor가 거의 10에 육박하는군요. 생화학&분자생물학 분야에서는 상위 6%에 올라가있을 만큼 우수한 저널입니다.(JCR 2007 참고) 수록 논문 정보 Subject Categories: Neuroscience | Molecular Biology of DiseaseMolecular Systems Biology 5 Article number: 252  doi:10.1038/msb.2009.10 Published online: 24 March 2009 Citation: Molecular Systems Biology 5:252 A systems approach to prion diseaseThere is a News and Views associated with this document. Daehee Hwang1,2,a, Inyoul Y Lee1,a, Hyuntae Yoo1,a, Nils Gehlenborg1,3, Ji-Hoon Cho2, Brianne Petritis1, David Baxter1, Rose Pitstick4, Rebecca Young4, Doug Spicer4, Nathan D Price7, John G Hohmann5, Stephen J DeArmond6, George A Carlson4 & Leroy E Hood1 Institute for Systems Biology, Seattle, WA, USA I-Bio Program &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POSTECH, Pohang, Republic of Korea Microarray Team,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Wellcome Trust Genome Campus, Cambridge, UK McLaughlin Research Institute, Great Falls, MT, USA Allen Brain Institute, Seattle, WA, USA Department of Pat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CA, USA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 Institute for Genomic Biology,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 USA 논문 다운로드
2009-03-27 17:59
Comment 1
외국의 명문대에서는 강의를 온라인상에 무료로 오픈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로 인터페이스도 다르고 이곳 저곳 찾아다니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서 명품 강의만 한 곳에 모아놓은 Academic Earth를 소개합니다. 현재 6개 명문대의 강의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2,400여개의 강의로 1,300시간 분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erkeley Harvard MIT Princeton Stanford Yale 맛보기로 '세계는 평평하다'의 저자 토마스 프리드먼의 강의를 통해서 2005년 책 출간 이후의 업데이트 소식을 들어보시죠.               관련글 : 2009/03/14 - [정보] - 하버드대에서 무료로 배우는 컴퓨터학개론 + α 2009/02/05 - [멀티미디어] - [KOCW] 국내대학 무료 동영상 강의를 만나보자. 2008/12/15 - [정보] - YouTube에서 만나는 수학 과외선생님 2008/05/11 - [정보] - 전세계 대학의 공개강좌를 한자리에서 2008/02/21 - [정보] - University Lectures (Podcast) 2007/12/14 - [정보] - 2007 Yale 대학 강의 Open 2007/12/06 - [정보] - MIT, 고교생을 위한 무료 과학 강좌 개설 2007/12/05 - [정보] - Webcast> Lectures for free 2007/10/05 - [정보] - You see Berkeley ? 2007/05/21 - [정보] - KAIST 대학원, 웹2.0 특강 공개 (16주 기획)              
2009-03-26 09:28
Comment 0
2009년 새롭게 청암학술정보관 이용안내 가이드를 만들었습니다. 도서관 각층 데스크에 올려 두었으니 신입생들과 외부 방문객들은 도서관 이용시 참고하시기바랍니다. 청암학술정보관 이용안내
2009-03-24 18:46
Comment 0
결국 일본과 WBC 결승에서 만나게 되었네요. 참 질긴 인연이네요. 한국선수들의 저평가된 연봉을 생각하면 연봉 좀 올려줘야 할터인데 경제가 어려우니 우승해서 외화라도 많이 벌어오시길 기원합니다. 언론에서 자꾸 몸값을 비교하네요. 메이저리그 선수들의 역대 통계와 연봉 정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메이저리그 역대 선수 & 통계 정보 http://mlb.mlb.com/mlb/players/ http://www.baseball-almanac.com/players/ballplayer.shtml 추신수와 이치로의 몸값을 비교해 볼까요. T.T 내일 오전에 경기가 중계된다고 하죠. 도서관 6층의 사이버카페와 2층의 멀티미디어부스에 TV가 있으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다른 도서관 이용자들을 위해서 조용한 가운데 시청바랍니다.
2009-03-23 18:20
Comment 0
지난주(3.18)에 MIT에서는 교수진들이 만장일치로 논문의 Open Access(OA) 의무화를 결의했습니다. 덕분에 앞으로 MIT 교수진들의 향후 연구성과를 전세계에서 무료로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결정은 하버드와 스탠포드 대학들이 단계적으로 OA 의무화를 하는 반면에 전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서 놀랍습니다. 그동안 저자(교수)는 출판사에 저작권을 모두 넘겨주어 자신의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홈페이지나 기관 레포지터리에 올릴 수 없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관행을 MIT에서는 기관차원에서 Open Access개념을 도입해 타계해나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저작권은 학교와 교수가 행사할 수 있으며 비영리적인 목적으로는 무료로 공개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MIT는 Open Courseware라든가 여러면에서 Open Access를 진행해왔습니다. Open Access Repository의 모델인 DSpace는 MIT도서관과 HP가 공동개발하여 많은 기관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KAIST와 서울대가 DSpace기반의 Open Access Repository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Open Access Repository의 운용은 연구성과을 널리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끝도 없이 치솟는 저널 출판사의 구독료 상승에 맞설 수 있는 조치가 될 것입니다. 출처 : http://www.earlham.edu/~peters/fos/2009/03/mit-adopts-university-wide-oa-mandate.html http://web.mit.edu/newsoffice/2009/open-access-0320.html http://web.mit.edu/facts/faculty.html 관련글 : 2009/01/22 - [도서관] - 서울대 도서관, S-Space 오픈 2008/01/17 - [정보] - Self-Archiving과 SHERPA RoMEo 2007/11/12 - [정보] - Institutional Repository 관련 자료를 찾다가…… 2007/07/14 - [정보] - KAIST의 개혁 & KOASAS
2009-03-23 16:54
Comment 0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해서 여러분의 모니터 해상도에 맞는 예쁜 바탕화면을 찾아볼까요. 검색식 구성은 검색어와 함께 imagesize라는 연산자를 활용합니다. library imagesize:800x600 위의 검색식을 이용하면 해상도가 800x600인 library 이미지들을 찾아줍니다. 여러분 모니터의 해상도는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클릭하시고 속성으로 들어가셔서 설정탭 클릭하시면 나옵니다.
2009-03-21 09:06
Comment 0
3월의 학술 DB 워크샵이 어제를 마지막으로 모두 끝났습니다. 4일 모두 참석하신 분들도 있고, 관심있는 워크샵에만 참석하신 분들도 있었습니다. 수업이나 기타 다른 일로 참석못하신 분들은 2층 서비스데스크에 리소스별 이용가이드와 워크샵 자료 올려두었으니 편하게 가져가셔서 활용하십시오.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디지털 리소스는 대부분 외국 출판사에 막대한 금액을 주고 구독하고 있습니다. 투자 대비 효과도 좋지만 여러분의 연구와 학습을 위해서 많이 활용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다음주에는 신입생들을 위한 도서관 오리엔테이션이 준비되어 있으니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중 도서관 기본교육을 아직 못받은 학생들은 참석하시기 바랍니다. 일주일간 진행 예정이며, 화요일과 수요일은 저녁 7시에 시작하니 일과시간에 시간내시기 어려운 분들은 저녁 시간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_신입생 OT 일정표 (클릭)|less..| 1. 교육일정 일시 / 장소 프로그램 3.23( 월 ) 503 호 오후 2 시 ~ 3 시반 - 도서관 장서 안내 및 자료 찾기 - 도서관 목록 검색 - 도서관 서비스 -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 투어 (30 분 ) 3.24( 화 ) 503 호 오후 7 시 ~ 8 시반 3.25( 수 ) 503 호 오후 7 시 ~ 8 시반 3.26( 목 ) 503 호 오후 2 시 ~ 3 시반 3.27( 금 ) 501 호 오후 1 시 ~ 2 시반 * 일정표 활용 (Google calendar 에 추가 가능 ) 2. 대상 : 신입생 ( 학부 및 대학원 과정 ) 3. 교육신청 : 도서관 홈페이지 > 도서관 서비스 > 정보이용교육 _M#]
2009-03-20 11:07
Comment 0
 3월 초/중순의 바쁜 일상을 지내고 나니, 매화에 이어 어느새 진달래/개나리/목련이 꽃을 피우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어제는 초여름같은 날씨에, 지곡연못 주변에 벚꽃으로 추정되는 나무 하나가 꽃을 환하게 피웠더군요!  그런데 사무실의 공기는 바깥 세상과는 또 무관하게 돌아가는 것 같습니다. 햇빛 들어오는 창도 없다보니, 계절의 변화에도 무감각해지는 기분이 듭니다. 이번 주말엔 꽃이나 작은 화분을 이용해서 집안이나, 랩실, 기숙사 등 실내에 봄의 기운을 잔뜩 들여놓으면 어떨까요? [봄을 부르는 꽃] 팬지, 수선화, 샤프란, 튤립, 아네모네, 데이지  수선화나 튤립과 같은 구근(알뿌리)식물은 정원은 물론 봄철 실내를 포인트로 장식하기에도 좋습니다. 봄이 오기 전에 알(?)을 심어두고, '무슨 색의 꽃이 필까..?'하며 두근두근 기다리는 재미도 제법 좋습니다. [사무실을 장식하는 식물] 산세비에리아, 셰플레라(홍콩야자), 벤자민고무나무, 관음죽, 접란(스파이더 플랜트), 아라우카리아, 행운목. 집들이로 받았던 선물, 사무실에 흔히 전해져 내려오는(?) 식물들. 이름이나 관리법을 잘 몰라 본의아니게 살생(?)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도서관에서 식물도감을 들추어 이름을 알아내기도 하고,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등 유용한 웹사이트를 뒤져보기도 합니다.   위에 나열한 식물들이 사무실에서 함께 살기 좋은 식물들로, 도서관 사무실 곳곳을 장식하고 있기도 합니다. 주로 기르기 어렵지 않으면서 실내 공기 정화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식물들입니다. 수생식물은 아니지만, 일부 떼어다가 물에 담가 책상에 장식을 해봤습니다;; 하얗게 뿌리가 내려졌으니 곧 흙으로 돌려보내야 겠군요 ^^ [쉬운 시작과 기르는 재미]허브, 다육종 & 선인장 처음 식물을 기르는 초보자, 집을 자주 비워 꾸준한 관리가 어려운 분들과 'Green Thumb'과는 거리가 먼 분들은 비교적 키우기 어렵지 않은 선인장이나 다육종을 키워보세요. 환기를 자주 해주고, 물주기에 주의하면 누구나 쉽게 키울 수 있다고 합니다. 또 허브는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 기르는 재미가 쏠쏠~하지요. 위에 소개한 '사무실을 장식하는 식물'도 초보자용으로 괜찮은 식물들입니다. [도서관의 자원을 활용하세요] 제목: (식물학자 윤경은 교수와) 우리집 용기정원 만들기 지은이: 윤경은 출판사: 김영사, 2008 청구기호: SB473 .윤14 2008(3층) 대표적인 실내 식물의 사진과 관리법. 식물의 종류와 목적에 맞게 화분을 고르고 꾸미는 방법 등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위에 소개한 다육종과 선인장은 개성이 넘치는 '접시정원'으로 꾸밀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제목: (원색도감) 선인장·다육식물 지은이: 박양세 출판사: 교학사, 2006 청구기호: SB438 .박63 2006(2층) 364종의 선인장과 144종의 다육 식물을 엮은 도감으로 식물의 사진과 특성에 대한 설명은 물론 재배법까지 설명되어 있습니다. 조금 아쉬운 것은 학명 위주로 되어 있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식물의 '애칭'으로 찾는 것은 한계가 있군요. 반대로 생각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식물의 학명이나 원명칭이 뭘까 검색하는데 유용할 것 같습니다. [도서관 분류기호 알고가기]  S: Agriculture(농업)   SB: Plant culture(원예/화훼)     SB403-450.87: Flowers and flower culture(화훼)     SB450.9-467.8: Gardens and gardening(원예)  Cf. QK: Botany(식물학)
2009-03-20 10:45
Comment 0
오는 3/19(목) 학술DB 이용교육 마지막 프리뷰 시간입니다. 특허라는 것은 독점 허가를 받은 공개된 기술입니다.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독창성이 담보되어야 합니다. 이런 특허는 논문생산량과 더불어 한 국가의 과학기술경쟁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기도 합니다. 특허 선행조사를 통해서 연구기술의 특허가능성을 타진할 수도 있으며 이미 등록된 특허를 통해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WIPS 특허DB를 통해서 각국의 특허를 한곳에서 검색하고, 일본특허의 경우에는 번역기능을 통해서 편하게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링 기능을 통해서는 특정 특허기술의 시장분석이라든가 연도별 추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교육일정 : 3.19(목) 오후 2시부터 3시 20분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1호 [교육신청] 관련글 : 2008/10/17 - [교육 & 이벤트] - 특허 이용교육 자료 활용하세요 2007/10/10 - [Database] - 특허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합니다. 2008/07/31 - [Database] - WIPS 특허DB 검색엔진 업그래이드 안내
2009-03-18 22:54
Comment 0
생명과학 분야의 선두 저널 Cell이 YouTube에도 Video 서비스를 위한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작년 11월에 처음 시작해서 현재까지 총 16편의 동영상이 올라왔습니다. 과학에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재미있는 영상들이 올라오게 될 것 같습니다. 저널에 그 중 똑똑한 침팬지가 눈길을 끄는 군요!!! 여러 개의 숫자가 화면에 일시적으로 보여졌다 지워지고, 그 순서를 기억해서 차례로 짚어내는 게임입니다. 저도 닌텐도의 두뇌트레이닝 중 유사한 게임을 통해 종종 해봤는데 7개 이상은 무리더라구요;;; 그런데 엄청난 속도로 귀여운 침팬지 군이 해내고 있습니다. 한 손으로는 스크린을 터치하고, 다른 손으로는 간식을 빼내 먹는 저 손놀림...침팬지 군 아무래도, 게임 중독입니다. :)  우리 도서관에서는 전자저널을 통해 1995년부터 CELL지를 원문구독하고 있습니다. Full-Text를 이용하시려면, 도서관 홈페이지> 전자자료> 전자저널> CELL 또는 데이터베이스> Science Direct를 통해 접속하시면 됩니다. ▒ CELL PRESS 동영상 전체 보기 ▒ Wild capuchins use stone tools A satiated worm Neuronal symmetry breaking Fighting fruit fly males, part II Long-term memory in an octopus Helical polysome - the protein synthesis machine of E. coli Reproductive policing in ants Fruit fly high-speed escape Cell division in the frog embryo Fighting fruit fly males Sperm whales at rest A parasitoid wasp manipulating the brain of a cockroach The remarkable resurrection plant Xerophyta Basal cells make contact with lumen Superior chimpanzee memory Chromosome congression during cell division
2009-03-18 10:09
Comment 0

Pages

Subscribe to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