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조선)

2023-02-16 17:49
postech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떻게 젠더를 다시 상상해야 할까? 남성에 대한 족쇄이자 여성을 향한 위협이 되고 마는 남성성의 형식은 달라질 수 없을까? 유색인 트랜스 여성으로서 경험해온 삶과 세계를 음악, 문학, 시각예술, 영화 등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작품 활동에 거침없이 투영하는 캐나다의 예술가 비벡 슈라야는 자신의 삶을 여성혐오, 젠더, 인종, 섹슈얼리티의 교차점으로 엮어낸다.
 

제목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저자

비벡 슈라야

분야

사회 / 정치

출판

오월의봄 (23.01)

 청구기호

HQ77.8.S58 .S57 2023

 

<책 소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떻게 젠더를 다시 상상해야 할까? 남성에 대한 족쇄이자 여성을 향한 위협이 되고 마는 남성성의 형식은 달라질 수 없을까? 유색인 트랜스 여성으로서 경험해온 삶과 세계를 음악, 문학, 시각예술, 영화 등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작품 활동에 거침없이 투영하는 캐나다의 예술가 비벡 슈라야는 자신의 삶을 여성혐오, 젠더, 인종, 섹슈얼리티의 교차점으로 엮어낸다. 두려움을 화두 삼은 이 압축적인 에세이는 단숨에 읽히며 남성성의 해악과 젠더 이분법에 대한 성찰을 촉발한다. 그는 남자들을 두려워하고, 남자들은(그리고 사람들은) 모호하며 비순응적인 그를 두려워한다. 이 두려움으로부터 우리는 어떻게 해방될 수 있을까?

 

<출판사 서평>


“우리에게는 남성성과 관련한 더 많은, 더 다양한 이야기가 필요하다.”
-루인,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선임연구원

“슈라야의 솔직하고 치열한 이야기가 터져 나오게 만들 더 많은 목소리를
나는 벌써부터 기대하고 있다.” -이반지하, 예술가

남성성과 젠더에 관한 어느 트랜스젠더의 고백

음악, 문학, 시각예술, 영화 등 경계를 가로지르며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치는 캐나다의 예술가 비벡 슈라야는 인도 이민자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트랜스 여성으로서 경험해온 삶과 세계를 거침없이 투영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갖가지 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전해지는 그의 목소리는 우리가 성별에 대해 생각하도록 배운 방식에 도전할 뿐만 아니라 소수자 억압적인 사회의 변화를 도모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통찰력을 제공한다. 여성성과 여성혐오, 인종화된 신체에 가해지는 폭력을 다룬 그의 음반은 2017년 캐나다 공영방송 CBC 선정 최우수 음반에 꼽혔고, 인종화된 몸을 주제로 한 시집으로는 LGBTQ 문학상을 수상했다.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는 그의 첫 에세이로, 유색인 트랜스 여성으로서 자신의 삶을 여성혐오, 젠더, 인종, 섹슈얼리티의 교차점으로 엮어낸 문제작이다. 두려움을 화두 삼은 이 압축적인 에세이는 단숨에 읽히며 남성성의 해악과 젠더 이분법에 대한 성찰을 촉발한다.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비벡 슈라야는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는 고백으로 말문을 연다. 그가 말하는 두려움은 남성 자체를 두려워하거나 혐오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의 두려움은 특정 태도를 향한다. 여성성을 경멸하고 남성성을 우대하는 태도, 여성혐오와 젠더 이분법에 기반한 억압과 폭력을 주도하고 묵인하고 공모하는 태도. 어려서부터 ‘충분히 남자답지 않다’는 이유로 숱한 괴롭힘을 견뎌내야 했던 그에게 이러한 태도는 언제나 남자의 얼굴을 하고 있었고, 그러한 경험들로 “누적된 손상”을 지니게 된 그는 담담히 고백한다.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내게 두려움을 가르친 것이 남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소녀(girl)’라는 단어를 무기 삼아 나를 공격한 것이, 이로써 그 단어에 겁먹도록 가르친 것이 남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내가 지닌 여성성을 혐오하고 기어이 망가뜨리도록 가르친 것이 남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내 안의 비상한 면모들을 두려워하도록 가르친 것이 남자들이었기 때문이다.” (13쪽)

그렇게 열린 저자의 말문은 매우 일상적인 서술로 이어진다. 저자는 자신이 느끼는 두려움이 하루의 시작에서 끝까지 어떤 지배력을 행사하는지 아주 쉬운 말들로 들려준다. 출근 준비를 하는 아침에는 ‘여성스러움’이 부각될 만한 옷이나 액세서리를 멀리하고, 만원 버스 안에서는 남자들의 시선을 피해 몸을 움츠리고, SNS에 접속할 때면 타임라인에 날아드는 트랜스 여성 폭력 소식을 마주할 준비를 하고, 엘리베이터에서는 뒤에 선 남성을 경계하며, 거리에서는 자신을 빤히 바라보는 이들의 시선을 외면하고자 일부러 시야를 흐린다. 그의 일상 곳곳에 자리한 미세한 폭력과 억압의 순간들을 읽다 보면 어느새 신경이 곤두서는 걸 느끼게 된다.
폭력성 또는 공격성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곤 하는 남성성의 해악과 여자 아니면 남자라는 젠더 이분법 문제는 사실 매우 복잡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주제이지만, 비벡 슈라야는 트랜스 여성으로서 자신의 삶에 누적되어온 손상의 경험을 쉬운 언어로 회상함으로써 문제적 상황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려 한다. 설명하기보다 보여주기를 택한 그의 이야기는 독자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며 이 두려움을 함께 느끼게 만든다.

가해와 피해의 모호한 경계

책은 ‘너’와 ‘나’라는 두 개의 부로 나뉜다. ‘너’는 저자가 기어이 남자들을 두려워하게 만든, 십 대에서 삼십 대에 이르기까지 손상의 경험을 누적시켜준 무수한 남자들에 대한 호명이다. ‘유색인’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으나 중학교 시절 내내 저자를 ‘호모 새끼’라 부르며 괴롭힌 동급생, 엄마의 오버사이즈 청재킷을 입고 버스를 기다리던 저자의 등에 침을 내뱉은 또래 남학생, ‘이성애자 남자’처럼 걷는 법을 알려주려 애쓰던 아르바이트 동료, 첫 만남에 대뜸 ‘몸 좀 키우라’며 마른 몸(그리고 그 마른 몸이 함의하는 여성성)에 대한 멸시를 숨기지 않았던 게이 친구, 버스를 기다리는 저자 앞에 멈춰 서서는 조수석 창문을 열고 다 쓴 종이컵을 내던지며 “이 변태 트젠 새끼야!”라고 소리치던 남성 등과 4년이 넘도록 깊은 관계를 맺었으나 끝내 외도를 고백한 아주 가까운 ‘너’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호명 속 ‘너’들은 동성애 혐오로, 여성혐오로, 젠더 이분법의 화신으로, ‘좋은 남자’라는 허상으로 끊임없이 등장하며 손상을 가한다.
그렇다면 이어지는 ‘나’에서 저자는 어떤 이야기를 이어갈까? 계속해서 ‘손상당하는’ 이야기? 하지만 놀랍게도 저자의 ‘나’ 이야기는 자신조차 그러한 폭력의 공모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았음에 대한 고백이다. “내 이야기가 얼마나 흔해빠진 것일지 두렵다”고 말하는 그는 “수많은 사람이 이보다 더 잔인한” 폭력을 견뎌왔다며 자신의 경험을 보편적인 것으로 확장하면서도, 자신 역시 가해라는 행위와 무관하지 않았음을 고백한다. 이 지점에서 그가 트랜스 여성이라는 점, 즉 그가 “남자였을 적에”라는 매우 독특한 시점을 지칭하는 사람이라는 점은 남성성에 대한 새로운 상상이 발화되는 특별한 자리를 마련한다. 가해하는 ‘너’와 피해받는 ‘나’라는 경계나 구분은, 적어도 그의 이야기에서는 전혀 분명하지도 고정되어 있지도 않은 것이다.

“그리고 남자들은 나를 두려워한다”
우리는 어떻게 두려움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저자는 남자들은 물론이고 여자들 또한 자신을 두려워한다고 말한다. 모호함과 비순응성 때문에 자신에게 가해지는 억압과 폭력성의 기반에 다름 아닌 두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브래지어 사이로 검은 가슴털을 드러내는 그를 남자들은, 그리고 여자들도 두려워한다. 두려움은 젠더의 경계를 넘나드는 저자만의 것이 아니라, 그러한 행위 또는 존재를 ‘공포스럽다’ 여기는 ‘우리의’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두려움으로부터 어떻게 해방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데서 ‘함께’일 수 있지 않을까? 저자는 묻는다. “내 경우까지 갈 것도 없이, 무엇이 여성적이고 무엇이 남성적이라는 사고방식을 스스로에게 강요하지 않았더라면 당신의 삶은 어떻게 되었을” 것 같느냐고. ‘너’와 ‘나’를 지나 ‘우리’의 질문으로 나아가는 이 책을 두려움에 관련된 모두가 읽어보길 희망한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가 남성성과 젠더를 어떻게 다시 상상할 수 있을지, 비벡 슈라야의 이야기가 그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출처: 교보문고]

Add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