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

검색
[전자자료: Annual Reviews] 'Annual Reviews(Online)'는 Biomedical Sciences, Physical Sciences, Social Sciences 등의 주제 분야에 대해 33종의 컨텐츠를 매년 e-book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료 컨텐츠이지만 우리도서관(청암학술정보관)을 비롯한 많은 기관들이 컨소시엄을 통해 구독하고 있으니 해당 기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을 통해 이용해보세요. 홈페이지는 왼쪽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Online상에서 이용할 경우, 원문에 대해 Fulltext(HTML), PDF의 형태로 이용이 가능한데요.HTML로 볼 경우에는 웹 상에서 이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지만 Crossref, ISI 등을 통해 References로의 링크가 쉬워 정말 유용합니다. 그림(Feature)이나 표(Table)를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구요. 반면, PDF로 볼 경우 부문별 인쇄와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별로 골라골라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33종의 컨텐츠는 아래와 같습니다. 외부에서 접속할 경우, 도서관의 전자저널에서 검색 후 이용하세요.    • Analytical Chemistry - New!  • Anthropology  • Astronomy and Astrophysics  • Biochemistry  • Biomedical Engineering  • Biophysics and Biomolecular Structure  •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 Clinical Psychology  •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 Entomology  • Environment and Resources        • Fluid Mechanics  • Genetics  • Genomics and Human Genetics  • Immunology  • Law and Social Science  • Materials Research  • Medicine  • Microbiology  • Neuroscience  • Nuclear and Particle Science  • Nutrition    • Pathology: Mechanisms of Disease  • Pharmacology and Toxicology  • Physical Chemistry  • Physiology  • Phytopathology  • Plant Biology  • Political Science  • Psychology  • Public Health  • Sociology[단행본: Annual Review] 한편, 위의 자료 중 일부는 단행본(책) 형태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웹 상에서 자료를 보거나, PDF 챕터 단위로의 이용이 불편하신 분은 해당연도의 Volume이 혹시 책자 형태로 소장중인 것은 아닌지 검색해 보세요. 2007년의 Annual Review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습니다. 검색 후, 각 주제 분야로 흩어져 있는 Annual Review를 찾아보세요. 일년에 한 번 출판되니  핵심 중의 핵심 Article만 모였겠지요. :)
2008-01-24 19:31
Comment 0
2008년 새해 계획 세우시면서 "올핸 기필코 영어를 정복할테다!", "제2외국어에 도전할테다!"하고 어학에 욕심내신 분들 많으시죠? 어학 자료의 경우 개별로 구입하셔서 공부하시는 경우가 많지만 도서관 자료도 활용해 보세요. 특히 저처럼 "이번 달은 바쁘니까, 다음 달에~, 또 다음 달로~" 미루고만 계신 분들은 이용 기간이 있는 도서관 자료를 잘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지난 해 DVD가 2층으로 이사오면서 함께 이사온 "어학 월간지"가 도움이 될 수도 있겠네요. 종류와 구성은 아래 참고하시고, 대출상태 등은 제목(TITLE)을 Click 하세요! [영어]1. CNN ez : CD 3매 + 교재2. AFN 영어 : TAPE 1매 + 교재3. (문단열의) English Cafe : TAPE/CD 1매 + 교재4. 김대균의 New TOEIC : TAPE + 교재, 모의고사 문제집[일본어]5. 일본어저널 : CD 1매 + 교재6. Radio 초급 일본어 : TAPE 1매 + 교재[중국어]7. Radio 초급 중국어 : TAPE 1매 + 교재 ** 멀티미디어자료(CD, TAPE)는 2층 대출데스크를 통해 대출/반납하실 수 있습니다. **
2008-01-24 19:29
Comment 0
SciFinder Scholar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라는 기관에서 구독하고 있는 DB로 화학을 중심으로 관련 과학분야의 정보가 망라되어 있는 유용하면서도 그만큼 라이센스가 비싸기로도 유명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SciFinder는 기업용으로, SciFinder Scholar는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용으로 되어 있습니다.CAS사는 작년이 100주년이 될 정도로 유서가 깊은 조직입니다.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가장 광범위한 화학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13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SciFinder는 어떤 대학교수님의 말씀에 의하면 사람으로 치면 노벨상을 받을만큼 뛰어난 학술 도구라고 합니다.SciFinder가 나오기 전에는 방대한 양의 인쇄본 Chemical Abstracts(CA)를 일일이 찾아봤어야 하는데 이제는  디지털화로 CD버전을 커져 SciFinder 버전 까지 손쉽게 화학 정보에 접근할 수 있네요. 저희 도서관에도 많은 양의 인쇄본 CA를 보유하고 있죠. (4층 목재서가 끝) 100주년을 기념하는 과거 사진 중에서 CA 10년치의 누적 색인만 쌓여놓은 사진이 있어 소개합니다. 그만큼 방대한 양이라는 거죠.DB 이용을 위해서는 Client/Server 방식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에 나온 2007 버전에서는 Vista 환경에서도 호환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툴바를 제공하고 있어 브라우저에서 바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웹버전이 나왔다는 소식이 있으니 내년 정도에는 웹방식의 이용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의하실 점은 교육기관용이기 때문에 상업적 용도의 연구에 사용이 불가한 점과 순수한 학습과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것과 레코드는 5,000건 이상 저장다운하지 말 것 등등해서 6가지 약속(Accept)을 프로그램 시작시 해야지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과도한 다운로드로 인해서 교내 전체 라이센스가 중지되지 않도록 주의 부탁드립니다. [#M_6개의 약속 보기 (클릭)|닫기 (클릭)|  By clicking the Accept button below, I hereby agree to all the terms and conditions set forth in this license agreement. 1)  I am a current faculty or administrative staff member, or officially registered student of the University. 2)  I will use SciFinder Scholar only for my own academic research done in the course of pursuing my degree, or in instructing my students, or, in the course of my own research funded by the government or a non-profit foundation and intended for publication in the publicly available literature. 3)  I will NOT use SciFinder Scholar for commercial research, for example, research  that is done under a funding or consultant contract where the results are delivered to a for-profit organization,  or for research that involves patentability searching.  If I require SciFinder for commercial purposes, I will have the search done using a commercial account by contacting the librarian responsible for chemistry searches on campus, by contacting CAS and having them perform a search for me, or by acquiring and using the commercial SciFinder product. 4)  I will use my search results in the ordinary course of academic research and acknowledge that I may store search results in electronic form for the duration of research projects, provided that at any one time, I store no more than 5,000 records.  I may share search results in a limited, reasonable way with other University students or faculty working on the same project.  I will delete stored records when I no longer need them for the relevant research project, or after the completion of my degree program, whichever occurs first.   If I need to use search results beyond what is described here, I will contact my University Key Contact to discuss and to obtain CAS permission.   I ACKNOWLEDGE THAT I AM NOT PERMITTED TO DISTRIBUTE ANY CAS DATA OR SCIFINDER SCHOLAR, FOR COMMERCIAL GAIN OR OTHERWISE, OUTSIDE THE UNIVERSITY OR TO THIRD PARTIES. 5)  I acknowledge that the University has entered into a license agreement with CAS to provide me with access to SciFinder Scholar, and that violation of the license by any user could result in a termination of the license for all users. 6)  I will contact the University's Key Contact with any questions related to the use of SciFinder Scholar._M#] 2008년은 동시접속자수가 2명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후에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나오면 이용이 불가합니다. 아침 일찍이나 저녁과 같은 시간대가 접속 성공율이 좋다고 하니 참고하십시오. The early bird accesses the SFS SciFinder Scholar 수록정보 SciFinder Scholar 2007 업그레이드 기능 관련 포스팅 : 2007/10/17 - [도서관] - Chemical Abstracts Service 인증서 취득 * SciFinder Scholar는 포스텍 도서관 유료 구독 DB입니다. *
2008-01-23 13:32
Comment 1
  청암학술정보관 5층에서 도서관 소개 업무를 충실히 하고 있는 큰얼굴 디지털 사서 PDP 키오스크랍니다. 늘 묵묵히 이용자들이 오는 곳을 향하고 있죠. 얼굴이 무거워(?) 인사는 못하지만 얼굴만큼 아는 것도 많아 도서관 속사정을 잘 알고 있는 친구랍니다. 도서관을 처음 오신 분들은 인사 나누도록 하세요. 아마 인사해도 받아주진 않을 겁니다. 목 관절이 없거든요. ㅎㅎ  옆에 로봇연구소가 생겼으니 곧 움직일 수 있게 관절과 다리를 만들어주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_iMazing|fk060000000000.JPG||fk060000000001.JPG||ek060000000001.JPG||gk060000000002.JPG||gk060000000000.JPG||width=400 height=300 frame=net_imazing_frame_none transition=net_imazing_show_window_transition_alpha navigation=net_imazing_show_window_navigation_simple slideshowInterval=10 page=1 align=h skinPath=/script/gallery/iMazing/ |_##]
2008-01-23 09:20
Comment 5
지난 주에는 제주도에서 열린 한국신학도서관협의회 세미나를 다녀왔습니다. 세미나를 통해서 저희 도서관 블로그의 2007년 운영 전반에 관하여 발표 기회를 가졌습니다. 아래에 발표자료를 달아놓겠습니다. 끝부분에 보시면 그동안의 블로그 관련 통계가 나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08-01-21 15:58
Comment 2
ITFIND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FIND는 급변하는 국내외 IT관련 기술, 시장 및 산업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국가 IT 종합정보시스템 역할과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구축된 Site입니다. 정보통신부가 2000년부터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모아놓은 연구보고서, 학술정보, IT839전략, IT표준기술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고, 정부 국책사업을 연구하는 22개 정부기관의 연구보고서 2만 7000건이상을 구축해 놓고 있습니다. 정보통신 유관기관들의 웹사이트에 등록된 각종 정보와 최근 웹진자료, 전세계 IT특허관련 원문정보,  IT분야 국내외 저널과 컨퍼런스 논문 서지정보 등도 무료로 제공하고, 향후에는 IT분야 중소기업 정보의 영문 데이터베이스와  IT세미나 관련 동영상 파일을 제공합니다. ITFIND는 정부지원하에 생성된 IT연구결과물이 산업계에 즉시 활용될 수 있도록, 국가적으로 보존하여 이용가치가 높은 자료를 선별, 디지털화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통부산하 유관기관에 흩어져있는 온라인 연구결과물 및 기술, 정책, 시장분석정보들을 통합 수집하여 최신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M_Database별 수록정보 보기 <Click>|Close| 종류 DB명 수록정보 수록기간 IT발간물 연구결과보고서 정부국책과제로 수행된 정보통신분야 사업의 연구결과보고서 종합 제공 2000~ 분석리포트 정보통신 유관기관에서 발행한 정보통신분야 분석보고서 종합 제공 2000~ 정기간행물 정보통신 유관기관에서 발행한 정보통신 분야 온라인 정기간행물 종합 제공 2002~ 백서/연차보고서 정보통신 유관기관에서 발행한 정보통신분야 온라인 백서/연차보고서 종합 제공 2002~ 과거간행물 정보통신 유관기관에서 발행한 정보통신 분야 간행물 중 폐간 자료 종합 제공 2002~ IT인프라정보 특허 정보통신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특허전문정보 제공 1976~ 학술 국외학술지 서지정보 제공 1981~ 표준 세계 정보통신분야 표준정보 제공 1987~ 통계 거시경제, IT산업, 통신방송, R&D, 정보화 등 시계열통계 및 간행물 제공 2001~ IT동향정보 기술동향 정보통신분야 국내외 최신 기술동향 정보 제공 2006~ 시장동향 정보통신분야 국내외 최신 시장동향 정보 제공 2006~ 산업동향 정보통신분야 국내외 최신 산업동향 정보 제공 2006~ 정책동향 정보통신분야 국내외 최신 정책동향 정보 제공 2006~ IT해외정보 국가별 정보통신분야 국가별 최신 동향 정보 제공 2002~ 기획시리즈 IT839정보지원시스템 IT839분야(8대 서비스, 3대 인프라, 9대 신성장동략) 기술, 시장 보고서 및 최신 뉴스제공 2004~ IT부품포탈 IT부품분야 최신 동향 정보 제공 2005~ IT통계포탈 시계열 IT통계데이터 및 가냉물 제공 2006~ 전기통신 연차보고서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 보고서 제공 2000~ IT테마정보 정보통신 테마별 최신 보고서 제공 2007~ 동영상자료 정보통신 최신 교육 및 컨퍼런스 자료 제공 2007~ 부가서비스정보 세미나 컨퍼런스 정보통신분야 세미나 컨퍼런스 행사에 대한 국내, 국외 (한글 번역) 안내자료 1996~ 정보통신뉴스 정보통신 최근 뉴스 1996~ HOT ISSUE 정보통신 분야 급부상 이슈를 선별하여 구체적인 기술/시장/정책 정보 제공 2000~ IITA Library IITA 사업연구결과보고서, 온라인 간향물, 오프라인 자료 서지정보 제공 2004~ 정보통신20세기사 정보통신분야 20세기 역사분석 정보 제공 2003~ IT 웹정보 국내외 정보통신분야 각종 정보제공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 2000~ 유관기관 웹정보 정보통신 유관기관의 온라인 정보 종합 제공 2000~ 유관기관새소식 유관기관 최근 소식정보 제공 2002~ 국내외IT기관 국내외 IT관련 기관 사이트 정보 제공 2006~_M#]
2008-01-18 13:03
Comment 1
[Intro..]안녕하세요. 뜨는 영화, 임순례 감독의 '우생순'(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보셨나요? 지금 막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고 하네요. 많이 기다렸던 영화라 저도 지난 주 개봉일에 바로 봤는데, 지난 해 저조했던 한국영화가 2008년에 다시 화려하게 부활하길 기대해 봅니다. 더불어 이번 주안동에서 개막한 '핸드볼 큰잔치'에도 관심을, 그리고 소외 받는 모든 이들에게 힘을 주세요! 얍![로보라이프뮤지엄]도서관 이웃에 지난 해 '포항지능로봇연구소'가 생긴 것은 모두 알고 계시죠? 1월 18일(금) '로보라이프뮤지엄(Robo-Life Museum)'이라는 체험전시관 오픈으로 또 한 번의 잔치를 열게 되었네요. 이른 아침부터 행사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네요, 축하합니다! 뮤지엄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제를 통해 운영되고 관람료를 받고 있지만, 개관일인 오늘은 다양한 행사를 무료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관련공지보기) 방학을 이용해 자녀들과 가기에도 참 좋을 것 같아요. 그 유명한 Wii게임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ㅎㅎ[체험, 인체신비 포항특별전]포항시청 앞 형산빌딩 특별전시장에서는 인체의 신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몇 년 전 크게 유행했던(?) 전시였지요? 지난 전시의 단점을 많이 보완하였다고 하니 아직 보지 못한 분들 구경가세보세요. 2월 3일까지 계속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후원사인 포항교차로 홈페이지 방문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역시 방학을 이용해 자녀들과 방문하면 좋을 듯 합니다. [스키, 보드 고고씽]포항에서 보드/스키탈 땐 어디가 좋을까. 차가 없는 뚜벅이 보더, 스키어는 움직이기가 쉽지 않죠. 다음 주말 쯤엔 효자동 단지 내에서 출발해 보아요. 주말만 출발하는 경우도 많으며 시간 및 장소 변동사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예약 및 출발시간/장소 확인은 필수! 무주리조트소재지: 전북 무주여행사 : 서광여행사, (054) 281-7900출발시간: 포스코인재개발원 앞 새벽 5시 출발 (현지 오후 5시 출발)세부내용: 무주리조트 세부교통 안내(클릭), 자세한 요금 안내(클릭)에덴벨리 소재지: 경남 양산여행사: 서광여행사, (054) 281-7900출발시간: 롯데마트 앞 오전 6시 20분, 오후 3시 50분 출발세부내용: 에덴벨리 세부교통 안내(클릭)하이원소재지: 강원 정선여행사: 월드고속관광, (054) 246-7100출발시간: 포스코인재개발원 앞 새벽 5시 출발(현지 오후 4시 반 출발)세부내용: 하이원 세부교통 안내(클릭)휘닉스파크소재지: 강원 평창여행사: 대아여행사. (054) 252-9100 ** 포항공대 할인 적용출발시간: 롯데마트 앞 새벽 4시 20분(현지 오후 4시 출발)세부내용: 휘팍 세부교통 안내(클릭)용평리조트소재지: 강원 평창여행사: 서광여행사, (054) 281-7900출발시간: 롯데마트 앞 새벽 4시 45분 출발(현지 오후 4시 출발)세부내용: 용평리조트 세부교통 안내(클릭) 그 밖에 소개하지 못한 다른 스키장(리조트)은 인터넷 검색 찬스를 쓰시고, 무엇보다! 안전한 주말 보내세요 ^^
2008-01-18 10:34
Comment 2
SHERPA RoMEo를 아세요?                                 영국의 Institutional Repository 추진 프로그램인 SHERPA(Securing a Hybrid Environment for Research, Preservation an Access)에서 운영하는 기관 리포지터리 Diretory인 "OpenDOAR"에 등록된 Repository Entry가 1,000건을 돌파했다고 하는데 Institutional Repository의 확산은 전 세계적인 추세인가 봅니다.    내용 보기특정 기관에서 Institutional Repository를 구축하고자 할 경우 연구자들이 자관의 Repository에 자신이 발표한 논문을 Self-Archiving 한다면 논문을 게재한 출판사로부터 Archiving에 대한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왜 이런 상황이 벌어질까요?  이는 연구자들이 출판사에 논문을 제출할 경우 출판사에서 경비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연구자가 자신의 논문에 대한 Copyright을 출판사에 양도함으로써 발생하게 됩니다.상업용 출판사는 연구자의 논문이 출판된 직후 또는 6~12개월이 경과한 이후에 연구자의 논문을 Open Access Archive에 제출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저작권을 행사하는 것이지요.SHERPA RoMEo 사이트에서는 출판사에 제출된 연구논문의 Post-Print나 Pre-Print의 Archiving Policy를 출판사별로 4개의 그룹(Green, Blue, Yellow, White)로 구분하여 제공하는데 총 363개(2008년 1월 16일 현재)의 출판사 정보를 제공합니다. <SHERPA RoMEo Homepage 화면>각 출판사의 그룹별 정책은 다음과 같이 구분되며,- Green Publishers : Post-Print, Pre-Print 모두 Archiving 가능.- Blue Publishers : Post-Print는 가능, Pre-print는 불가능.- Yellow Publishers : Post-Print는 불가능, Pre-Print는 가능.- White Publishers : Post-Print, Pre-Print 모두 불가능.전체 출판사의 그룹별 구분된 통계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저작권 윤리문제가 점점 강조되는 현실에서 연구자 여러분께서도 발표하신 논문에 대한 출판사별 Archiving Policy를 꼭 확인하시어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이미지 출처 : http://www.sherpa.ac.uk/romeo.php
2008-01-17 18:03
Comment 0
우리 도서관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교양지 중의 하나가 바로 월간지 '뉴턴(NEWTON)'이다. 뉴턴 잡지에는 주제별 특집기사를 하나씩 다루는데 이 중 인기있던 기사를 더욱 깊이있게 다뤄 'Highlight'를 붙였다. 일본 뉴턴프레스의 아이디어. 지난 2006년 11월 '상대성 이론'을 시작으로 매달 한 가지의 주제에 더 많은 일러스트와 살을 붙여 지금까지 총 15권이 번역되어 출판되고 있다. 매달 발행되지만 월간지는 아니라는 다소 곤란한 설정 때문에, 'Newton Highlight'는 '저널(4F)'이 아닌 '단행본(3F)'으로 목록되었다. 2년마다 폐기되는 월간지의 신세가 아닌 단행본의 신분(?)이 된 것은 이용자에게나 책에게나 좋은 일이 아닐까. 월간지엔 책의 주소(address)라 할 수 있는 청구기호도 없으니 말이다. 쉽지만 자세하고, 전문적이지만 재밌는 책. 게다가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이 팍팍! 이해를 돕는다. 혼자 몰래 보고 내보내려 하였으나, 이용자에게 딱 거린 뉴턴 하이라이트, 주인 찾아 떠나 볼까나. Summing Up: Highly Recommended. All levels. -- KayKim, POSTECH 'Newton Highlight' 지금 막 大방출(?) 합니다. 세부사항은 아래 표의 TITLE클릭! 청구기호 참고하세요! 제목(TITLE) : 자세한 내용 및 목차는 해당 제목 Click! 청구기호(Call No.) (완전도해)주기율표  QD466  .주78 2007 인체를 지배하는 메커니즘 : 기원과 유전자, 나노 기술의 의학까지 QP38  .인83 2007 (탐사선이 밝혀낸)태양계의 모든 것  QB501  .태63 2007 성을 결정하는 X와 Y : 성 염색체와 '남녀의 사이언스' QH442  .성67 2007 (여기까지 밝혀졌다)뇌와 마음의 구조  QP356.2  .뇌65 2007 0과 무한의 과학 QA141  .영15 2007 시간이란 무엇인가 : 시간 여행은 가능할까? QC173.59.S65  .시12 2007 (천문학계가 주목하는)75은하 68항성 : 최첨단 장비로 촬영한, 초베스트 우주 영상 QB32  .칠58 2007 화성과 토성 : 물과 생명의 증거를 찾아서타이탄과 고리의 수수께끼에 도전한다 QB981  .화54 2007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양자론  QC174.12  .양72 2007 인체 : 21세기 해부학 QM23.2  .뉴884 2006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상대성 이론  QC173.55  .상23 2006*  해당자료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출판사를 통한 세부내용 및 목차를,   청구기호를 클릭하시면 도서관 소장 사항 및 대출상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2008-01-17 13:31
Comment 0
한 달 후에 학위를 수여받게 되는 예비 석/박사의 논문 접수가 끝났습니다. 이제서야 담당자가 조금 숨통이 트였네요 ㅋ 작년에 비해 석/박사 배출이 20%정도 감소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접수된 논문(책자)은 우리 도서관 뿐만 아니라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에 납본되고 있습니다. 논문의 이용은 학위수여일 이후 한 달 정도 후에 가능하며, 이번에 졸업하시는 분들의 학위논문은 우리 도서관을 통해 3월부터는 책자는 물론 원문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귀중한 연구결과물이자 유용한 정보원 중의 하나인 국/내외 학위논문의 이용에 대해 소개합니다. [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4U.NET)는 이용해보셨나요? 국내외의 학술지논문(articles) 및 단행본 검색과 주제별 해외DB의 이용이 가능하며 연구지원정보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서들을 위한 커뮤니티나 국내/일본자료 목록 찾기가 용이해 사서들이 자주 찾는 곳입니다. 국내 학위논문의 경우 목록뿐 아니라 원문까지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니 잘 활용하세요. 특히 2008년 논문부터는 전국 200여개 대학의 제출시스템까지 겸하게 되므로 더 방대한 양의 논문(원문)을 가장 빠르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회도서관]국회도서관은 국내 거의 모든 대학들의 납본에 따라 가장 방대한 양(1945년 이후)의 학위논문 메타 DB를 갖추고 있습니다. 단, 먼저 소개한 KERIS의 학위논문은 원문 이용에 대해 온라인 접속이 용이한 반면, 국회도서관의 일부 원문을 이용하시려면 협정기관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가까운 도서관 검색하셔서 이용하세요. 포항시는 포은도서관, 영암도서관과 함께 포항공대 도서관도 협정기관의 하나로 청암학술정보관 2층의 다 섯개의 검색대가 "국회도서관"용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도 국회도서관과 마찬가지로 전국 대부분 대학의 학위논문 목록 검색이 가능합니다. [개별 대학도서관]KERIS,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을 통해 검색하신 논문의 원문을 보실 수 없다면 해당 논문이 발행된 대학 도서관의 웹사이트를 방문해보세요. 정보자료의 공유차원에서 최근에는 각 대학의 지적 산물인 학위논문의 원문을 공개하는 곳이 늘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교(POSTECH)의 논문은 도서관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원문이용은 물론 3층 별치서가를 통해 열람이 가능(대출 불가능) 합니다. [원문복사서비스]위 어느 곳에서도 원문을 찾아볼 수 없을 경우 원문 복사 서비스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단행본, 저널, 보고서 외에 학위논문도 원문 복사 신청이 가능합니다. 꼭 필요한 정보는 원문복사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 "학위논문 검색 및 활용하기 2: 국외편"에서는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 멀리 아프리카까지 학위논문 검색에 참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알아볼까요? **  
2008-01-17 09:00
Comment 0

페이지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