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

검색
 CSI 드라마 좋아하세요?? CSI Lasvagas 시즌 1.2와 인기 있는 시리즈 DVD를 2층 서가에서 대출, 열람할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 국립과학수사 연구소와 같이 미국에 실제로 CSI, CIA, FBI가 있죠 ^^  실제 CSI는 극중에서처럼 용의자를 직접 대면하거나 심문하지는 않고, 주로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증거물들을 조사한다고 합니다.  Forensic Science는 이런 분야(법의학, 법의병리학, 법의혈청학, 법이화학, 법생물학, 문서감정학, 거짓말탐지학, 유전저감식학 등)를 연구하는 학문이죠.^^  청암 학술정보관에서도 CCTV, 대출히스토리 등 추적하는 수사단(?)이 가끔 출동하곤 한답니다ㅋ 블로그를 보는 독자 여러분은 도서관 자료를 소중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죠?  CSI New York 에피소드 'Playing with Matches(414)'에서 맥반장의 파트너 스텔라가 현장에서 발견된 물질을 PDA에서 검색하는데요, CAS Database에서 CAS Registry Number를 조회합니다.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 중인 SciFinder도 CAS에서 제공하는 Database로 CAS Registry Number로 고유한 물질들을 식별합니다. 실리콘을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 Silica를 검색하는 장면입니다.                                                                                             < CSI  New York (ep.414)>     3억 종 이상의 유기물/무기물, 약 6억 가지의 Sequence 정보가 고유의 CAS Registry ID를 갖게 되고, 매일 새로운 물질들이 업데이트 됨으로 인해, 최근에는 4,2,1 총 7자리의 ID를 10자리 ID로 바꾸게 되었다고 하네요. CAS Registry Number는 이제 10자리(xxxxxxx-xx-x) 형태로 등록되고 있습니다. 검색하실 때 참고하세요^^  The Latest CAS Registry Number® and Substance Count Date 02/28/2008 00:14:57 EST Count 34,014,338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59,688,125 sequences CAS RN 1005551-32-5 is the most recent CAS Registry Number* 내용 출처 : CAS Registry Number on CSI New York                                                                                                        Find out MORE @ POSTECH Library 1. SciFinder 2. CSI (DVDs) 3. CSI는 하이힐을 신지 않는다 (Book)
2008-02-28 21:13
Comment 0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WZD라는 개인화페이지에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드립니다. 기존의 도서관 홈페이지가 식상하게 느껴진다면 자신만의 색상에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도서관 컨텐츠들을 배치해보는 건 어떨까요 ?POSTECH Library라는 페이지명 아래에 담겨진 컨텐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담아둘 수 있는 액자 위젯이 있습니다. 여러분 가족이나 애인 사진을 담아보면 좋겠죠. 여러개의 사진이 순환되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자신의 지역 날씨를 알 수 있는 위젯입니다. 3일간의 날씨를 제공합니다.포스텍 도서관에서 해놓은 공용 즐겨찾기입니다. 주로 유용한 학술정보 리소스들을 계속 북마크해나가고 있습니다. 사이트 주소는 http://del.icio.us/postech 입니다.도서관 목록검색을 할 수 있는 미니브라우저라는 위젯입니다. 포스텍의 자료를 검색하시거나 전자저널만 따로 검색하실 때 Go! 버튼을 누르고 검색을 해주세요. RSS 피드를 통해서 도서관의 공지사항과 블로그의 새글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 들어온 신간 이미지와 전자책중에서 Safari의 신간도서의 요약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3개 포털사이트에서 '포스텍'에 관한 언론기사만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관심 키워드를 넣어보세요.포스텍의 연구자들이 발표한 최신 저널 논문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기능은 SCOPUS DB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주제어나 저자, 학교명 등으로 다양하게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샘플 페이지 구경은 여기로!!동영상으로도 한번 만나보시죠. 보면서 따라하시면 쉽게 페이지를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Flash] http://library.postech.ac.kr/htdocs/service/video/wzdlibrary/wzdlibrary.swf 참고사이트위자드 : http://wzd.com 공유센터 오즈 : http://oz.wzd.com
2008-02-28 00:00
Comment 2
삼국지, 이제는 전자책(E-Book)이나 DVD로도 즐겨 보세요 !!중국의 기전체 역사서인 삼국지!!!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여러분은 삼국지를 몇 번 정도 읽어 보셨나요? 언젠가 TV에서 30번(?) 이상을 읽었다고 하면서 삼국지의 어느 대목에서는 등장 인물이 누구이며 어떤 내용이다라는 인터뷰를 하던 할머니가 기억납니다만, 전 권을 여러 번 읽었다는 분을 만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책으로 된 삼국지 읽기가 지겨워 포기하신 분들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로 된 삼국지를 소개해 드리오니 다시 한 번 도전해 보시지 않겠습니까?우리 도서관에 소장중인 삼국지는 몇 종류나 될까요?  도서관 홈페이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결과 59건이 검색되었는데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책으로 된 삼국지를 접하기가 싫다구요? 등장하는 수 많은 인물들과 방대한 스케일, 엄청난 분량에 질려서 처음 몇 권을 책으로 읽다가 포기해 버린 분들이 계시다구요? 그렇다면 DVD로 된 삼국지는 어떻습니까?  DVD로 된 삼국지의 이용 대상은 12세 이상 관람가로 표기되어 있으니 여러분 가정의 자녀들과 함께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은 고인이 되신 고우영 선생의 만화로 된 삼국지도 소장하고 있습니다.또 한가지, 도서관에 직접 오시기가 번거로운 분이 계신가요? 그렇다면 전자책(E-Book)으로 된 삼국지를 즐겨 보세요.  E-Book은 편리한 대출과 반납이 장점인데 국외서는 대출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국내서는 5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에서 연장도 가능하며 대출 기간 만료 후 시스템에서 자동 반납 처리가 됨으로써 연체의 걱정이 없습니다. 교내 구성원들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도서 커버 이미지 : http://www.aladdin.co.kr
2008-02-26 09:45
Comment 0
우리 도서관에는 2종류의 소화기가 도서관을 지키고 있습니다. 빨간색 옷을 입고 있는 분말소화기와 은색 옷을 입고 있는 하론소화기가 그 주인공들입니다. 아래 동영상을 통해서 사용방법을 익히시기 바랍니다. [##_2C|fk130000000002.jpg|width="300" height="225"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하론가스 소화기 (전기화재시)|fk130000000000.jpg|width="300" height="225"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분말 소화기 (일반 화재시)_##] <분말 소화기 사용방법> <하론 소화기 사용방법>도서관 서버실과 같은 곳은 연기나 화재발생시 하론가스가 방출되도록 설비가 되어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서는 산소가 부족해서 질식할 염려가 있으니 내부에 계시면 외부로 대피하셔야 합니다. 위 동영상은 모의실험이므로 따라하지 마세요!
2008-02-25 16:42
Comment 1
온라인에서 학위 공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Collegedegree.com - Online Colleges 블로그에서 온라인 공개 강좌를 제공하는 세계 선두 대학들의 강좌중에서 글쓰기 관련된 강좌만을 갈래별로 52개를 정리해놓았네요.그중에서 과학 글쓰기 관련한 MIT의 강좌를 발췌해서 소개해드립니다. 학위논문이나 영문 아티클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아래 강좌를 참고하세요. Scientific Writing Writing and the Environment: 환경과 관련된 설득력있는 글쓰기를 도와줍니다. [MIT] Introduction to Technical Communication: Perspectives on Medicine and Public Health: 의료종사자가 글쓰기시에 기술적 의사소통의 기본을 배우는데 도움을 줍니다. [MIT]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과학공학도가 기술적 글쓰기를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MIT] The Science Essay: 과학 에세이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MIT] Communicating in Technical Organizations: 기술 문서 작성에 도움을 줍니다. [MIT] Writing About Na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자연과 환경관련 글쓰기에 도움을 줍니다. [MIT]글쓰는 요령은 알아도 실제로 글을 쓰고 교정을 봐줄 수 없는 점은 아쉽지만 미국의 우수대학에서 어떤식으로 글쓰기 교육을 하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겠네요.
2008-02-23 23:23
Comment 0
화재예방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로 중요한 문제입니다. 최근의 숭례문 전소와 정부종합청사의 일들이 남의 일같지 않아 마음이 아프네요. 화재는 우리 주변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고 일어나고 있는 일들입니다. 다행히 청암학술정보관은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라 화재예방이 그나마 잘 되어있는 편입니다. 화재시에 대처요령에 관한 자료를 만들고 있는 중입니다. 우선은 도서관의 화재시 비상문으로의 대피안내와 몇가지 화재시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사진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자료가 잘 정리되면 홈페이지에 올려두겠습니다.화재시에는 비상문의 위치를 표시하는 사인등이 자동으로 들어옵니다. 천정쪽이나 벽체에 있는 표시등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셔서 비상문이나 계단을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하시면 됩니다. 층별로 있는 소화기나 방연마스크도 화재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되어 있으니 위치를 확인해두시기 바랍니다. [##_iMazing|fk120000000019.jpg||ek120000000028.jpg||fk120000000020.jpg||ek120000000029.jpg||fk120000000021.jpg||ek120000000030.jpg||ek120000000031.jpg||gk130000000019.jpg||ek120000000032.jpg||gk130000000020.jpg||ek120000000033.jpg||fk120000000022.jpg||fk120000000023.jpg||gk130000000021.jpg||ek120000000034.jpg||gk130000000022.jpg||ek120000000035.jpg||gk130000000023.jpg||fk120000000024.jpg||ek120000000036.jpg||fk120000000025.jpg||ek120000000037.jpg||fk120000000026.jpg||gk130000000024.jpg||ek120000000038.jpg||fk120000000027.jpg||gk130000000025.jpg||gk130000000026.jpg||gk130000000027.jpg||ek120000000039.jpg||fk120000000028.jpg||fk120000000029.jpg||fk120000000030.jpg||ek120000000040.jpg||gk130000000028.jpg||fk120000000018.jpg||width="400" height="300" frame="net_imazing_frame_none" transition="net_imazing_show_window_transition_alpha" navigation="net_imazing_show_window_navigation_simple" slideshowInterval="5" page="1" align="h" skinPath="/script/gallery/iMazing/"|_##]
2008-02-23 22:20
Comment 3
포스텍 이용자들이 저널의 impact factor를 도서관홈페이지를 통해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JCR에서 직접 찾기 도서관 목록에서 해당 저널을 찾은 후에 WebBridge 버튼을 눌러 찾기 저널정보 데이터베이스인 Ulrich's periodical direcotry에서 저널을 찾은 후 JCR 링크 버튼을 눌러 찾기저널중에서 Nature를 예로 들어 동영상으로 엮어봤습니다. 아래 동영상 참고하셔서 저널의 Impact factor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_Movie|pWu3mtqIBb4$|http://cfs2.flvs.daum.net/files/69/93/54/66/9486984/thumb.jpg_##]
2008-02-21 13:26
Comment 0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조문호 교수팀의 연구성과가 저널 Nano letters 최근호에 실렸습니다. 이번 연구성과를 통해 촉매없이 자발적으로 성장하는 nano wire를 이용하여 대면적 나노소자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M_포스텍 보도자료 (클릭)|닫기|  -  POSTECH 조문호 교수팀, ‘촉매없이 스스로 성장하는’ 대면적 나노와이어 개발 - 촉매 필요 없는 대면적 니켈실리사이드 나노와이어 ‘자발 성장법’ 개발 - ‘자발 성장’한 나노와이어의 대면적 응용 가능성 제시 … 나노기술 관련 저널 연속 발표   대면적(大面積)에 촉매 없이 화학 가스를 이용해 실리사이드 나노와이어을 자발적으로 성장시켜 대면적 나노 소자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BK21 지식산업형소재시스템사업단(신소재공학과) 조문호(趙文浩ㆍ39세) 교수와 박사과정 강기범(姜奇範ㆍ23세), 김철주(金哲柱ㆍ25세)씨 연구팀은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ㆍCVD)*만으로 금속 박막 위에 나노미터(nm) 크기의 니켈 실리사이드를 자발 성장시킬 수 있는 공정법을 개발했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전자 소자를 구현하는 핵심적인 물질인 니켈 실리사이드 나노와이어의 합성에 대한 성장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을 뿐 아니라, 나노와이어의 자발성장 과정에서 니켈 산화물의 역할을 밝혀 나노와이어의 성질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나노 기술(NT)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최신호에 이전의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과 연작으로 발표된 이 연구 결과는 나노 전자 소자,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자 등 다양한 나노 소자 개발에 핵심적인 공정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속성을 띄는 니켈 실리사이드(NiSi)는 반도체와 전자 소자를 접합하거나 배선할 때 사용되는 물질이다. 특히 우수한 품질의 실리사이드 물질 합성은 나노 전자 소자의 특성과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조 교수팀은 나노 촉매를 이용한 기존의 화학기상증착법을 발전시켜 촉매 물질이 없이도 대면적의 박막 위에 자발적으로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공정을 개발했으며 이 기술을 통해 저온에서도 실리사이드의 합성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을 뿐 아니라, 니켈 실리사이드 나노와이어 전자방출소자(electron emission device)로도 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팀은 니켈의 산화물층이 니켈 실리사이드 나노와이어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규명해 이 나노와이어의 성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과학재단의 ‘나노원천기술 개발사업’과 산업자원부의 ‘System IC 2010 반도체 기반 기술개발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출처 : 포스텍 보도자료 _M#] 언론기사 보기  저널정보Nano letters는 저널평가도구인 JCR 2006을 기준으로 나노과학/나노기술 분야 32개의 저널중에서 영향력지수(impact factor)가 가장 높은 최우수 저널로 평균 아티클당 인용회수가 약 10회에 이르고 있다.Full Journal Title:      NANO LETTERS      ISO Abbrev. Title:     Nano Lett.JCR Abbrev. Title:     NANO LETTISSN:     1530-6984Issues/Year:     12  Language:     ENGLISHJournal Country/Territory:     UNITED STATESPublisher:     AMER CHEMICAL SOCPublisher Address:     1155 16TH ST, NW, WASHINGTON, DC 20036Subject Categories: CHEMISTRY, MULTIDISCIPLINARY  NANOSCIENCE & NANOTECHNOLOGY NANO LETTERS 최신간 목차 RSS로 받기 : RSS 아티클 정보The Role of NiOx Overlayers on Spontaneous Growth of NiSix Nanowires from Ni Seed LayersKibum Kang, Sung-Kyu Kim, Cheol-Joo Kim, and Moon-Ho Jopp 431 - 436; (Letter) DOI: 10.1021/nl072326c [#M_초록 (클릭)|닫기| We report a controllably reproducible and spontaneous growth of single-crystalline NiSix nanowires using NiOx/Ni seed layers during SiH4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e provide evidence that upon the reactions of SiH4 (vapor)-Ni seed layers (solid), the presence of the NiOx overlayer on Ni seed layers plays the key role to promote the spontaneous one-dimensional growth of NiSix single crystals without employing catalytic nanocrystals. Specifically, the spontaneous nanowire formation on the NiOx overlayer is understood within the frame of the SiH4 vapor-phase reaction with out-diffused Ni from the Ni underlayers, where the Ni diffusion is controlled by the NiOx overlayers for the limited nucleation. We show that single-crystalline NiSix nanowires by this self-organized fashion in our synthesis display a narrow diameter distribution, and their average length is set by the thickness of the Ni seed layers. We argue that our simple CVD method employing the bilayers of transition metal and their oxides as the seed layers can provide implication as the general synthetic route for the spontaneous growth of metal-silicide nanowires in large scales. _M#] Download the full text: PDF | HTML
2008-02-19 15:03
Comment 1
IEEE에서 제공하는 e-Learnig Program을 이용해 보셨나요?                 IEEE의 e-Learning Program인 IEEE Xplore Expert Now IEEE는 IEEE Conference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하는 Program입니다. IEEE 최고의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IEEE에 소개되는 최신 기술과 동향을 교육하고 IACET(국제 평생 교육협회)와 IEEE와의 협력을 통한 공인인증 점수 CEUs를 제공합니다.포항공과대학교 도서관홈페이지를 통하여 Expert Now IEEE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교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제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도서관홈페이지 ==> 전자자료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의 알파벳순 리스트의 "I" 를 클릭 ==> 순번 1번의 IEEE Xplore를 클릭 ==> IEEE Xplore Homepage ==> Browse ==> Educational Courses 클릭 ==> Subject Area 또는 Course Title을 선택.Expert Now IEEE의 교육 구성 카테고리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erospace Artificial Intelligence Circuits & Devices Communications Computer Engineering / Networking / Software Instrumentation & Measurement Lasers & Optics Manufacturing Medicine & Biology Microwave Theory & Techniques Power Professional Development & Management Reliability Robotics & Automation Seosors Signal Processing Vehicular Technology KITIS산학연정보사(KITIS Info. Company)에서 서울대학교, KAIST를 비롯한 전국의 주요 대학과 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의 국가연구원과 삼성전자, SK Telecom을 비롯한 주요 대기업에 IEEE 정보를 제공한다고 합니다.이미지 출처 : IEEE Xplore 홈페이지
2008-02-19 10:55
Comment 0
FlickR의 이미지 재활용은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이번에는 FlickR의 이미지와 Screensaver가 만나 Slickr가 만들어졌네요. 포스텍 도서관의 신간도서 이미지를 스크린세이버에서 만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일단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되는데 .net이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없는 PC는 진행중에 설치하라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프로그램 다운받기 설정이 다소 복잡하지만 아래 동영상(1분)을 보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_Movie|3VDgRog69xM$|http://cfs2.flvs.daum.net/files/45/15/88/28/8034234/thumb.jpg_##] 입력값은 아래 데이터를 사용하세요. Key : d713e8aec6af46d07ffab1ac931e233cSecret : 4fc030519630b3e1User : ptechcirc@yahoo.co.krSet : NewBooks 도서관 2층 퀵검색대에 설치해두었습니다. 마치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분위기가 나네요.
2008-02-18 16:04
Comment 2

페이지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