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

검색
GreenFILE™ EBSCO에서는 인류와 환경과의 연관성을 주제로 하는 무료 DB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600여개 이상의 학술지 및 일반 자료 뿐만 아니라 정부자료와 보고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GreenFILE을 통해 인간이 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들을 조망할 수 있습니다. 지구온난화와 자원 재활용 및 대체연료 등에 관해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환경과 관련된 농학, 법율, 교육, 보건, 기술 분야의 이용자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록자료는 약 295,000건이며, 오픈액세스저널 등을 통해서 4,600여건의 자료는 원문까지 볼 수 있습니다. 또한, 6,800여개의 용어 시소러스와 5,000여건의 저자 프로필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GreenFILE via http://www.greeninfoonline.com
2008-09-12 10:48
Comment 0
  World Wide Web, HTTP (Hypertext Transport Protocol)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가속기 연구센터가 있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에서 가속기 개발 연구과정의 byproduct로 만들어지게 되어, 오늘날 웹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9/10일, CERN의 LHC (Large Hardron Collider)에서 태초의 Big Bang을 재현하기 위한 테스트(LHC First Beam)를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었다고 하죠. 스위스, 프랑스 국경 지대 지하 깊은 곳에 위치한 27km 둘레의 거대한 진공관(2 Crossing vacuum pipes)에서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가속된 Proton 입자들의 충돌을 유도하여 힉스입자의 존재여부 등을 밝히려고 하는데요.. 앞으로 이론물리학의 입체표준모형이 증명될지! 혹은 완전히 새로운 물리학이 탄생하는 반전이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스티븐 호킹은 이번 실험에서 힉스입자를 찾게 되면 백달러 내겠다고 베팅했다죠. Proton 충돌이 일어난 4 곳(CMS, ALICE, ATLAS, LHCb)의 검출기에서 나온 엄청난 양의 정보를 GRID라는 체계 하에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관련 기관들과 과학자들이 앞으로 약 1~2년 동안 분석하는 작업이 진행되게 됩니다. LHC, "The Bottle to Bang -by Chris Mabb" 클립입니다. 이번 실험의 개요와 원리를 알기 쉽게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하고 있네요~ 즐감 ^^ [##_Movie|kLScjwiqoi8$|http://cfs3.flvs.daum.net/files/78/42/56/54/13867356/thumb.jpg_##]<출처 : CERN Video Resources>
2008-09-11 18:02
Comment 3
                                                                                                            CERN 생중계 보기 (Click)[##_2C|jk32.jpg|width="296" height="256"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48c7cbda5c4d58H.jpg|width="296" height="256"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Particle Physics ROCKS !!                                                              Higgs Boson?[BBC] Big Bang Day Special 
2008-09-10 23:35
Comment 0
Elsevier사의 전자저널 포털인 ScienceDirect에서 2008년 2사분기동안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Top 25개의 아티클을 업데이트했습니다. cell지에 실린 한 자료는 8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많이 다운되고 있고 피인용횟수만도 5,000건이 넘네요. 관심 분야별 / 저널별로도 화제의 아티클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2008-09-08 18:26
Comment 0
영국 노팅험 대학에는 폭탄머리의 괴짜 교수님이 계십니다. 그분은 화학과에 계신 Martyn Poliakoff 교수님이시죠. 원소 주기율표를  YouTUBE 동영상으로 구성하는 재미있는 시도를 하셨습니다. 각각의 원소를 클릭하면 해당 원소에 대한 설명과 재미있는 정보와 실험을 보여줍니다. (사이트 바로가기) 이 동영상을 제작하시다가 폭탄머리가 된 건 아닌지 의심되네요. 위키에 보니 2008년에 인터넷 최고의 헤어로 뽑히셨네요. ㅎㅎ
2008-09-08 14:54
Comment 0
주소의 역할은 찾아가는데 있습니다. 사람에게는 살아가는 주소지가 있고, 인터넷은 웹주소가 있습니다. 그리고, 도서관 자료에도 주소가 있습니다.  도서관 자료의 주소는 청구기호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call number라고 합니다. 아마도 옛날에는 도서관이 지금처럼 개가제(open stack)이 아니라 폐가제(closed stack)였기 때문에 책을 사서에게 찾아달라고 청구했기 때문에 청구기호라고 부르지 않았나 추측해봅니다. 도서관 자료의 주소는 분류체계에 따라 크게 DDC라는 십진분류체계와 LCC라는 미국의회도서관분류체계를 따르고 있습니다. 포스텍 도서관은 LCC를 사용하고 있고, 미국의 많은 대학도서관들이 LC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거의 대부분이 십진분류체계를 사용하는 반면, 포스텍과 KAIST, 그리고 가까이 있는 위덕대 도서관 등에서는 LC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온라인 도서관목록은 영어로 OPAC(Online Public Access Catalog) 또는 WebPAC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도서관 WebPAC에서 자료검색 후에 나타나는 검색결과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해당하는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소장 위치와 청구기호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위 자료는 단행본자료로 3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위치 정보를 알고싶은 경우에는소장위치란에 있는 단행본(3층) 링크를 클릭합니다. 층별안내나 비쥬얼 투어 설명페이지로 아래처럼 연결됩니다.각층 엘리베이터 앞에는 층별 안내도가 있습니다. 안내도에서 청구기호별 서가번호를 찾아가면 쉽게 책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소지와 약도가 있으면 길을 찾아가듯이 도서관에서는 소장위치와 청구기호, 그리고 안내도가 네비게이션입니다. 이젠 도서관에서 쉽게 자료를 찾으실 수 있겠죠.
2008-09-05 23:35
Comment 0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은 미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지부로서, PubMed, Genbank, PubChem 등 Biotechnology 분야의 Database들을 구축하여 대중에게 Open되어 있습니다.                                            NCBI는 Molecular Biology, Biotechnology 중에서도 특히 유전공학 분야 연구정보가 유명하죠  Entrez의 GenBank, BLAST, UniGene, dbGap, Genome Project Database 등이 있으며, 모든 NCBI 데이터베이스의 통합 검색이 가능합니다. <Search Entrez.. Click> NCBI의 Database는 서지정보 DB(PubMed, OMIM 등), Molecular Databases(GeneBank, PubChem, RefSeq 등), Genome DB (Entrez, dbGAP)가 있고, 자체 개발하여 Computational Biology 관련 Data를 분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Tool, 프로그래밍 Tool을 제공합니다. POSTECH BRIC 홈페이지에서도 NCBI를 소개하고 있는데요, 생명공학도라면 한번씩 들어본 리소스들일 것입니다.(BRIC의 NCBI소개 Page Click)  컨텐츠가 참 많습니다.. NCBI SiteMap을 참조하세요~ <SiteMap 바로가기 Click !>  TIP of the Day - SciFidner & MEDLINE                                                 2008.08.27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고 있는 SciFinder를 검색할 때, CAS Database와 함께 NCBI의 MEDLINE을 동시에 검색하거나 검색대상 DB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eference>Databases에서 셋팅하세요~  * MEDLINE은 PubMed에서 검색가능한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리소스 입니다. 
2008-09-02 23:51
Comment 0
여름을 지나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방학동안 못 보았던 친구들의 얼굴이 위의 토기인형처럼 검게 그을려 나타나지는 않았나요. 여름방학동안 여행으로 또는 아르바이트로 뜨거운 태양아래 분주하게 지냈던 친구들의 얘기들로 9월을 시작해볼까요. 도서관에서는 방학동안 계속 포스팅으로 여러분들을 찾아갔습니다. 댓글이 많지 않았지만 조금씩 구독자도 늘었습니다. 계획했던 일들도 많았는데 생각보다 일이 잘 안풀리네요. ㅎㅎ 하지만 노력중에 있습니다. 시스템에 다양한 기능을 2학기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일단 spell check 기능은 활성화되었습니다. 기타 다른 기능들은 현재 테스트중에 있습니다.앞으로 추가될 기능은 내 서재(My lists) 기능, 서평 쓰기, 개인통보서 RSS 및 주제별 신착자료 RSS 기능이 되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2008-09-02 16:06
Comment 1
  SciFinder의 CAS Database에서 세계 최대의 Biomedical Science, Chemistry, Engineering, Material Science 관련 저널, 특허, Clinical Report, Dissertation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최신 과학기술 문헌의 핵심 정보들이 CAS 박사급 이상 직원들에 의해 Indexing 후 CAS Database에 등록됩니다. 2008년 CAS 업데이트 뉴스입니다. 특허 관련 정보! 꼭 확인하시고, 검색할 때 참고하세요! ^^  2008 CAS Databases Update  South Korean patent data is now current through February 2008. 최근 한국(남한)의 특허정보가치가 높아지면서, CAS Database 구축에 한국인 박사급이 많이 용되었다고 합니다. 2007년 이후 Scouth Korea Patent 대부분이 CAS DB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Japanese (JPO), Chinese (SIPO), and South Korean (KIPO) utility models are now being added to the CAS databases. By the end of this year, a backfile from the beginning of 2006 will be included in the CAS databases.  미국(USPTO), 유럽(EPO) 뿐 아니라, 일본(JPO), 중국(SIPO), 한국(KIPO)의 실용신안들이 CAS DB에 추가, Backfile(2006년 초~) 등록. CAS databases have been enhanced with approximately 3,500 World Traditional Medicine (WTM) Chinese patents, bringing the total to 13,500 WTM patents. Mexican patents through the end of 2007 have been added to CAS databases. 176,000 experimental spectra have been added to CAS REGISTRYSM - this includes 90,000 proton NMR spectra, 15,000 carbon-13 spectra, and 71,000 mass spectra. CAS REGISTRY now includes more than 480,000 experimental spectra. Experimental Properties, 위의 Spectral 정보들이 NIAIST, Wiley 등으로부터 CAS Registry에 등록 CAS databases now contain more than 200 million cited references. More than 163,000 exemplified prophetic substances (from the example section of all English, French, and German language basic patents) from over 1,700 published patents have been added to CAS databases. CASREACT has recently surpassed 15 million single- and multi-step reactions and coverage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prophetic reactions. Over 1 million 10-digit CAS Registry Number identifiers have been assigned to newly registered chemicals. (CAS Registry # as a substance Identifier)   l
2008-09-01 09:19
Comment 0
저널의 평가도구로 유명한 JCR의 Impact factor(IF)는 저널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수입니다. JCR의 IF는 자사의 제품인 Web of Science의 아티클당 피인용횟수에 근거해서 산출됩니다. 마찬가지로 동종의 서지데이터베이스인 SCOPUS도 피인용횟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개의 DB를 통해서 저널의 IF를 구할 수 있을 겁니다. 최근 듀크대학 도서관의 사서들이 생태학 및 환경분야의 저널을 대상으로 이 두개의 DB를 가지고 Impact factor를 산출해서 저널간의 순위와 IF를 비교한 아티클을 발표했습니다. 두 DB의 결과값은 통계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크게 차이나는 몇몇개의 저널이 있었지만 DB의 색인이 불완전하거나 일부 데이터의 품질이 낮아서 생기는 문제로 보인다고합니다. 앞으로 데이터값에 대한 처리가 정교해질수록 두 DB간의 차이는 점점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에는 데이터의 소스를 얼마나 다양하게 분석해서 보여줄 것인가 얼마나 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서 이용자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관련글1 : 2008/06/25 - [저널] - JCR 2007이 나왔습니다. 갱신된 Impact Factor 확인하세요.  관련글2 : 2008/02/20 - [저널] - Impact factor를 찾아라!    
2008-08-29 15:52
Comment 0

페이지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