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

검색
구글공식 블로그 소식에 의하면, 앞으로 구글 도서검색에서 잡지도 검색을 해서 볼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많지는 않지만 여러종의 잡지를 구글도서검색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이 과월호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어떤 잡지는 100년이 넘는 과월호의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합니다. 고급검색에서 잡지로만 제한해서 검색을 할 수도 있습니다.현재 과학과 관련된 잡지는 과학동아와 비슷한 Popular Science와 Popular Mechanics가 있으며, 물리학 분야의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가 있습니다.이외에도  New York Magazine, Ebony, Jet, Cruise Travel, Baseball Digest, Timber Home Living, Men's Health와 같은 잡지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잡지의 내용을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겠지만 그 시대의 광고를 보는 것도 또다른 재미인 것같습니다. 이렇게 구글은 또 한번 우리를 놀라게 하네요. 그저 Please don't be evil 하길 빌어봅니다.
2008-12-10 17:21
Comment 1
몇일 추웠던 날씨가 조금씩 풀리기 시작하네요. 도서관도 추웠죠. 저도 사무실이 추워서 어제는 스웨터를 껴입고 왔더니 좀 덥더라구요. 저는 주로 컴퓨터를 책상 밑에 두고 사용합니다. 이렇게 난방이 부실한 날에는 컴퓨터 본체에 발을 올려두죠. 그럼 그렇게 CPU가 고마울 수가 없습니다. ㅎㅎ이번 포스팅에서는 Firefox 브라우저의 주소창 옆에 날린 작은 검색창을 이용해서 도서관의 다양한 학술자원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팁들을 소개합니다. Add to Search Bar요즘 왠만한 사이트들은 자체 검색기능과 검색창을 제공합니다. Add to Search Bar라는 부가기능은 다른 사이트의 검색창을 그대로 Firefox 검색창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마치 미드 Heroes의 누구처럼 남의 능력을 자기 능력처럼 가져올 수 있는 강추 기능입니다.[##_Movie|Czq0mClcI6w$|http://cfs3.flvs.daum.net/files/28/43/69/54/15953827/thumb.jpg_##]우선은 부가기능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우리 도서관의 빠른검색창을 추가해보죠. 커서를 검색창으로 옮겨두고 오른쪽 클릭을 하면 검색도구에 추가하기(B)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클릭을 하면 검색창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고 대표 파비콘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상단 우측 검색창으로 보면 대표 파비콘이 보일 겁니다. 키워드를 입력해서 검색하면 동일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도서관에서 유료로 구독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저널 사이트들을 검색창으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와 SCOPUS 그리고 ABI/Infrom, IT분야의 전자책인 Safari IT ebook 등등을 검색창에 추가해서 해당 사이트에 가지 않아도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유용한 기능입니다. 사이트에 따라 기능이 안되는 곳도 있습니다. Organize Search Engines여러 사이트들의 검색창을 추가하다 보면 검색창의 타켓 소스들이 넘쳐날 겁니다. 그러면 종류별로 폴더로 관리하거나 구분선을 넣어서 정리를 해줄 수 있는 이 기능이 유용할 겁니다.SearchLoad Options검색창의 옵션을 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검색창에 입력했던 키워드를 삭제해주거나 자주 사용하는 타켓 검색엔진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초기화시켜주거나 검색결과를 새로운 탭으로 열어줄 수 있는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08-12-09 19:17
Comment 1
지난주에 이어 금주에는 직원 IT교육이 있었습니다. 파워포인트와 엑셀의 기초과정과 중급과정을 배울 수 있는 과정이었습니다. 보통 오피스류의 프로그램을 생산성 프로그램이라고 부르더라구요.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용자는 주장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데이터와 수치를 손쉽게 다룰 수 있죠. 우리 학교의 경우에는 매년 MS의 오피스를 라이센스로 구매하기 때문에 아무 문제없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가 없는 도서관에서는 Sun사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인 OpenOffice를 무료로 설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우리 도서관의 경우 서가에서 찾아보면 오피스의 프로그램들이 한 주제에 모여있지 않고 프로그램 별로 다른 주제를 가지고 이산가족처럼 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용자들이 간혹 찾는데 당황하는 경우가 있죠. 아래 청구기호를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엑셀 : HF5548.4파워포인트 : T385워드 : Z52.5액세스 : QA76.D3이번 교육을 통해 엑셀의 유용한 Tip을 하나 알게되었습니다. 다 아는 내용일 지 모르지만 참고하세요.간단하게 전체 영역 설정하기행이나 열들이 적으면 그냥 드래그해서 범위를 잡지만 특히 열이 수천개가 넘어가는 데이터셋은 드래그하다가 지치는 경우가 많죠. 이럴 때 유용한 키가 Shift + Ctrl + 방향키 3단 콤보랍니다. 시작셀에서 가로셀 끝까지 범위 설정은 Shift + Ctrl + →를 동시에 누르시고, 세로로 아래 끝셀 까지는 Shift + Ctrl + ↓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또는 데이터셋 내에 아무 셀을 클릭하고, Shift + Ctrl + 8을 누르시거나, Ctrl + *을 클릭하시면 자동으로 전체를 범위 설정해줍니다. 
2008-12-05 17:55
Comment 0
Elsevier사의 전자저널 포털인 ScienceDirect에서 2008년 3사분기동안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Top 25개의 아티클을 업데이트하였습니다. 관심 분야별 / 저널별로 화제의 아티클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웹2.0 기능을 통해서 RSS로 구독하시거나, 블로그에 아티클별로 삽입하거나, Elsevier에서 운영하는 소셜북마크 사이트를 이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_Gallery|49374677b32579L.jpg||49374678081349X.jpg||4937467849dc79Z.jpg||width="400" height="300"_##]
2008-12-04 11:59
Comment 0
지난 11월20일 유럽의 문화유산을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도서관인 Europeana가 사이버상에 문을 열었다. 이 사이트는 유럽 27개국의 1,000여개의 도서관, 박물관, 기록보존소에서 제공하는 200만 건의 도서, 사진, 그림, 사운드, 영화, 지도, 필사본 등이 제공된다. 하지만 예상을 웃도는 방문자로 하루만에 사이트는 다운이 되고 말았다. 시간당 1,000만건의 접속이 폭주하는 통에 사이트는 기술보완을 위해서 개관을 12월로 연기할 수 밖에 없었다. 이날 많은 사람들은 모나리자를 검색했다고 한다.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이나 모나리자의 인기는 대단하다. 경국지색이 아니라 경웹지색(?)이라할만 하지 않은가. Source : http://farm4.static.flickr.com/3237/2675025163_afae8c5898.jpg 영국의 국립 도서관과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에서 많은 자료를 제공했다고 한다. 현재 제공하는 자료의 반이 프랑스에서 제공한 것이라고 하며 영국자료는 10%정도 된다고 한다. 제공 자료에 대한 유럽 국가별 편중이 다소 있는 듯하다. 이 디지털도서관은 다국어 지원을 한다. 우선 영어와 불어, 독어를 제공하며 추후에 다른 언어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금은 베타버전이지만 2010년에 정상적인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며 이때는 1,000만건에서 600만건 이상의 기록물에 접속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이 프로젝트는 네덜란드 국립도서관에 본부를 두고 운영하고 있다. 구글의 디지털 도서관 프로젝트로 미국권 자료에 대한 파급효과가 확대되는 것을 마뜩찮게 여기던 유럽으로서는 문화적 우위를 알리는 동시에 유럽문화를 온라인 세계속으로 전파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대부분의 자료는 저작권이 소멸되었기 때문에 자유롭게 블로그나 웹으로 가져갈 수 있다고 한다. 다시 사이트가 부활하는 날을 기다려보자.   우리도 유구한 역사를 가진 나라다. 우리의 고전문화도 국역사업이 끝나는 대로 번역작업을 통해서 세계속에 널리 알려질 수 있는 프로젝트가 생겼으면 좋겠다. 이미 조선왕조실록은 국역사업이 끝나서 온라인으로 모두 보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걱정이다. 경제가 힘들수록 도서관에 대한 예산이 준다고 하니 말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경제위기때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서비스 수요는 그 어느때보다 늘어난다고 한다. 삽으로 땅을 팔 궁리를 할 것이 아니라 우리 문화를 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2008-12-02 07:10
Comment 1
지난 11월은 문화행사로 도서관이 많이 분주하고 소란하고 흥분된 달이었습니다. 마치 잠들었던 숲속의 공주가 깨어나 축제가 열린 듯 마법의 무도회가 열린 듯 색다른 경험의 시간이었습니다. 이제는 조용하니 마지막 잎새처럼 우리에게 한 장의 달력이 남겨졌네요. 이번 달력은 로마의 밤거리를 담아보았습니다. Flickr의 matteo_dudek님 사진을 이용했습니다. 사진을 보니 영화 점퍼의 장면들이 생각나기도 하네요. 공간 이동을 하는 주인공을 그린 영화죠. 재미있게도 처음으로 이동한 곳이 동네 도서관이었죠. 그 주인공의 마음속 도피처가 도서관이었나봅니다. 여러분은 한 장의 여유를 어디에서 보내시렵니까. 학생들은 기말고사 준비로 한동안 바쁘겠군요. 시험준비 잘하시구요. 행복한 연말연시를 보내시기 바랍니다. 지난 11월에 포스팅된 글들을 모아봅니다. 구글 지도보고 청암학술정보관 찾아오기 | 2008/11/30 [동영상] 인터넷이 사라진 세상이 온다? (2) | 2008/11/29 사서는 열공중 -.-; (4) | 2008/11/27 블로그코리아에 우뚝선 도서관 블로그들 (10) | 2008/11/25 산타도 힘들어하는 대공황을 준비하라 | 2008/11/25 [전자책] EndNote 달인에 도전하라 | 2008/11/24 [동영상] 이소룡 vs 탁구선수 | 2008/11/23 Gmail에 도서관목록검색 가젯 추가하기 | 2008/11/21 [동영상] 청암학술정보관 건축 시공의 비밀 | 2008/11/19 베스트셀러를 남기고 떠난 사람 (2) | 2008/11/18 다시 보는 작가, 이미륵 | 2008/11/17 포스텍이 사랑한 작가: TOP 100 | 2008/11/17 포스텍이 사랑한 책: TOP 100 | 2008/11/17 MoMA와 반 고흐 | 2008/11/14 2008 도서관 문화행사 사진 모음 @ Flickr | 2008/11/14 [동영상] 찾아가는 음악회에 찾아오신 300명 (2) | 2008/11/13 언론에 소개된 우리 문화행사 (3) | 2008/11/12 2008 문화행사 관련 스티커 설문조사 결과 (2) | 2008/11/12 무상 배포합니다. (2) | 2008/11/12 교양지 경매 낙찰자 안내 (2) | 2008/11/11 [2008 OPEN LIBRARY] 만원의 행복 - 월간 교양지 경매(경매종료) (109) | 2008/11/11 [2008 OPEN LIBRARY] 도서관에 가래! 떡준대~ (4) | 2008/11/11 [2008 OPEN LIBRARY] 포스터 세션, 도서관 맛보기 (2) | 2008/11/11 [2008 OPEN LIBRARY] 이번엔 Nintendo Wii다! (6) | 2008/11/10 [2008 OPEN LIBRARY] 종이 블로그 탄생 (2) | 2008/11/10 [2008 OPEN LIBRARY] 천원의 행복- 새책 & 헌책 판매/배포 (리스트 추가) (2) | 2008/11/10 포스텍 도서관 다기능 툴바 "포도툴" 다운받으세요 (2) | 2008/11/09 창의적인 광고 모음 | 2008/11/08 [2008 OPEN LIBRARY] 포항시향, 찾아가는 음악회 (2) | 2008/11/04 [2008 OPEN LIBRARY] 첫대출, 이벤트 상품 증정 | 2008/11/04
2008-12-01 12:56
Comment 1
방학중에 도서관의 무선 커버리지가 AP의 추가 설치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Mac과 Linux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알려드립니다. 아직 Vista는 지원이 안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제작업체에서 테스트중이라고 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네요. [추가] 2007/11/13 - [서비스] - 도서관 무선랜 비스타로 이용하자 도서관 홈페이지와 블로그의 방문자 로그를 보름치 분석해보았습니다. 대략적인 결과를 알려드리면 방문자가 사용하는 운영체제(OS)는 Windows가 95%이상, Mac과 Linux는 각각 1%에도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Windows를 다시 세분해보면, XP가 92% 이상이고 Vista는 2% 정도로 나옵니다. 많이 사용하는 버전을 우선 서비스 하다보니 소수자나 얼리어답터들은 다소 불편을 겪을 수 밖에 없네요. 하지만 다행히 Mac과 Linux에서도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시스템운영팀(279-2512)에서 알려와서 소개해드립니다. 그럼, 많은 이용바랍니다. MAC OS는 Windows XP처럼 자체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아래 사이트 정보를 참고하세요. http://www.uic.edu/depts/accc/network/wireless/macx.html (10.3, 10.4) http://www.uic.edu/depts/accc/network/wireless/macleopard.html (10.5) Linux 802.1x셋팅 법 및 Application 다운 받을수 있는 사이트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ldp.hughesjr.com/HOWTO/8021X-HOWTO/xsupplicant.html
2008-12-01 11:24
Comment 2
구글 한국블로그 소식에 의하면 한국 지도 서비스가 시작되었네요. 도로명 표시도 되고 전보다 국내의 지도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희 도서관을 찾아오시는 분들은 참고하세요. 또한, 주변검색 기능도 있어 가까운 횟집이나 주유소 등등을 추가로 검색할 수 있어 유용하네요. 다만, 국내법 때문에 아주 상세한 지도는 제공이 안된다고 하네요. 또한, 미국 구글에서는 안되고 국내 구글사이트에서 검색해야 된다고 합니다. 청암학술정보관 보러가기 : 링크   [##_Movie|Psmzarx-yb0$|http://cfs3.flvs.daum.net/files/86/41/46/102/15726554/thumb.jpg_##]
2008-12-01 10:50
Comment 0
깨끗한 원본 자막을 보려면 : http://www.itsawonderfulinternet.com/ 인터넷이 사라진 세상이 온다면 여러분은 무엇이 가장 불편할까요 ?  열공하시는 분들은 전자저널과 DB 등을 이용하지 못해 논문 생산성이 떨어지겠죠. 덕분에 도서관과 우체국은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할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인터넷이후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이것도 see the unseen이 되겠네요. 현대판 그림책이라고 해야하나요, 우화라고 해야하네요. 이 책의 교훈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2008-11-29 08:45
Comment 1
어제부터 시작해서 3일간 도서관에서는 홍콩에서 온 트레이너를 통해 도서관시스템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 도서관에서는 미국 Innovative사의 Millennium이라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로 시작하는 나라부터 Z로 시작하는 나라까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이용자그룹을 가진 국제적인 학술정보관리시스템입니다. 미국에는 대표적으로 Caltech 도서관을 포함해서 수백개의 도서관이 사용하고 있고 가까이는 홍콩과기대 도서관이나 일본의 와세다 대학도서관이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매년 새로운 기능이나 업그래이드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웹2.0의 트렌드도 빠르게 도입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과 업무 개선을 위해서 이런 교육도 필요하답니다. 미국 시스템의 장점이 매뉴얼이 잘되어 있다는 점이죠. 하지만 영문으로 되어 있고 도입 당시나 지금도 남모를 고생이 많습니다. T.T 짧은 3일이지만 더 나은 서비스개발을 위해 트레이너와 열심히 머리를 맞대고 교육에 임하고 있습니다.
2008-11-29 06:02
Comment 2

페이지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