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

검색
연구자와 기관의 학술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중의 하나인 H-index에 관한 온라인 세미나가 이번주 목요일(7. 9)  오후 5시 톰슨사의 사이트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미리 온라인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세미나는 한국어로 30분 동안 진행됩니다.    H-index 세션 등록 관련글 : 2008/08/13 - [Database] - [h-index] 당신의 H는 무엇입니까?
2009-07-06 15:27
Comment 0
요즘 인터넷 UCC 자달선생 시리즈가 뜨고 있다고 합니다. 여대생 자취생 달인과 그녀의 제자가 펼치는 자취 노하우의 이모저모를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8편까지 나왔네요. 기숙사 생활하는 공대생들은 벤치마킹을 하거나 남학생만의 자취 비결을 UCC로 만들어봄이 어떨지요. 어헛~ ㅎㅎ 은근 중독성있네요. 시리즈가 어디까지 계속될 지 궁금하네요. 계속 following하실 분은 RSS를 등록하세요. 전에 간단하게 티셔츠를 개는 방법을 소개해드렸는데 이런 생활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외국의 동영상 사이트를 소개하니 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realsimple.com : 긴팔 셔츠 개기 tipnut.com : 욕실 타월 개기 How to Do a Towel Folding
2009-07-06 12:01
Comment 0
저널을 못찾아 서비스 데스크를 방문하는 이용자들이 있습니다. 문제는 축약한 저널 이름 때문에 쉽게 저널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입니다. 전공분야의 저널은 유추해서 어떻게 해보겠지만 다른 분야의 또는 영미권 이외의 지역에서 나온 저널의 경우에는 저널 약어를 해독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풀네임으로 적으면 좋을텐데 왜 이렇게 저널명을 약어로 축약해놓은 것일까요. 예로 부터 색인지를 만들때 조금이라도 종이를 절약하고자 약어를 사용해왔는데 그 전통이 오늘에도 이어져오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니 요즘에는 트위터의 140자 제한 때문에 URL주소를 축약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비슷한 전통이 되어가네요. 이런 전차로 코넬대학도서관에서는 한자리에서 저널 약어를 해독하는 사이트를 2004년 부터 개발해오고 있습니다. 약어를 해독하지 못해 약오를 때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Keith Jenkins, “Deciphering Journal Abbreviations with JAbbr,” The Code4Lib Journal, June 30, 2009, http://journal.code4lib.org/articles/1758.
2009-07-05 23:27
Comment 0
푸른 하늘과 파란 바다의 경계없음이여. 그대들의 지식 또한 경계없는 통섭을 계속하라. 구름같은 파도여 구글같은 바다여. 도서관 바다속 깊은 심연 속에 감춰진 진주를 찾으라. 날도 더워지고 주변에선 짜증나는 일들만 가득합니다. 이런 때에 도서관이 조그만 위안이 되어야하는데 오히려 유리 때문에 이용자와 유리될까봐 걱정입니다. 구성원들간의 지혜를 모아 안전한 도서관 환경을 만들어야겠습니다. 도서관에서는 이번 여름에 장서점검을 통해서 전반적인 자료의 점검과 망실 상태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여러분도 자신의 장서를 살펴보고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은 어떨까요 ? 이번 바탕화면 달력은 Flickr의 Michelle Brea님 사진으로 꾸며보았습니다. 지난 6월의 포스팅 모음 하늘에서 본 포스텍 10경 | 2009/06/30 과학검색엔진의 롱테일 | 2009/06/25 [소식] 2008 JCR DATA 업데이트 & 교육 (2) | 2009/06/24 다음엔 뭘 읽지 ? | 2009/06/23 2009 전국대학도서관대회 참관기 | 2009/06/22 미래 미래 미래도시라~ (4) | 2009/06/19 장기대출(최대84일) 서비스 먼저 챙기세요 | 2009/06/17 우유부단한 내 성격, Hunch야 도와줘 ♬ (2) | 2009/06/16 100년전 미국대학을 보다. | 2009/06/16 도서관 금발이 너무해~ | 2009/06/15 우리 도서관소식 트위터로 따라와~ | 2009/06/10 [당첨자발표] 도서관, 별을 만나다 (6) | 2009/06/08 [이벤트] 퀴즈 풀고, MacBook받기! | 2009/06/08 새로운 검색엔진, 빙구레(?) 등장 | 2009/06/08 간단한 검색은 자료검색전용 PC를~ | 2009/06/08 세계 최초 수업료없는 온라인 대학교 등장 | 2009/06/04 교외(변경된 기숙사 IP)에서 데이터베이스 이용하기 | 2009/06/02 교외(변경된 기숙사IP)에서 전자저널 이용하기 | 2009/06/02 [6월 달력] 6월의 첫인사 | 2009/06/01
2009-07-01 18:06
Comment 0
6월30일로 Firefox가 3.5버전으로 업그래이드가 되었습니다. 더불어 포스텍 도서관툴바인 LibX도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습니다. 아직 LibX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이용자는 아래 링크를 통해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기존 이용자는 자동 업그래이드됩니다. Click here to install LibX POSTECH Edition Beta Version 1.5.6 for Firefox Click here to install LibX POSTECH Edition Beta Version 1.5.6 for Internet Explorer LibX는 미국 버지니아텍 컴공과와 도서관에서 합작으로 만든 오픈소스 확장기능입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현재 631개의 도서관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Firefox 뿐만 아니라 IE에서도 사용가능합니다. 또다른 포스텍 도서관툴바인 포도툴도 3.5에서 계속 사용할 수 있으니 같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포스팅 2007/03/26 - [서비스] - Firefox용 도서관 툴바 LibX 설치 안내 2007/12/17 - [서비스] - 도서관툴바 LibX 배포 (IE용) 2009/04/27 - [서비스] - 포도툴바에 검색엔진 V9 장착
2009-07-01 09:45
Comment 0
[##_Gallery|cfile2.uf.115742204A49D35947E067.jpg||cfile21.uf.205742204A49D35A48EB2D.jpg||cfile23.uf.135742204A49D35C492C76.jpg||cfile25.uf.135742204A49D35E4AEF6A.jpg||cfile4.uf.155742204A49D35F4B0285.jpg||cfile22.uf.155742204A49D3604CCD16.jpg||cfile2.uf.185742204A49D3624D1974.jpg||cfile22.uf.115742204A49D3644E51CB.jpg||cfile5.uf.135742204A49D3654F87B7.jpg||cfile24.uf.145742204A49D367507A3C.jpg||width="400" height="300"_##] 하늘에서 내려다본 포스텍의 최신 풍경들입니다. 멀리서 바라보니 더욱 간지가 작열하네요. 오늘은 철강대학원이 준공을 했죠. 캠퍼스는 무한 확장중입니다. (World Wide Campus)  AV실 사이트에 가시면 해상도 좋은 사진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2009-06-30 18:23
Comment 0
올해에는 전북 부안에서 전국대학도서관대회가 열렸습니다. 지난주 수요일, 목요일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포항과 부안은 동서를 가로질러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교통편이 좋지않아 고심을 했지만 근처 위덕대 도서관 선생님을 통해 대구지역의 대학도서관 선생님들이 카풀로 간다는 정보를 듣고 두 자리를 어렵지않게 얻어서 갈 수가 있었습니다. 오프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위대함을 다시금 느꼈습니다. 1박 2일간의 짧은 여정을 담아봤습니다. 1일차 성균관대 김현수 부총장 겸 학술정보관장님의 기조연설이 있었습니다. 웹2.0시대에서 바라본 도서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의 비주얼한 강연이었습니다. 다양한 동영상이 어우러져 대학도서관의 과거와 미래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보고,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 그리고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래의 도서관 장면을 통해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고민해볼 수 있는 연설이었습니다. 그 나라의 과거를 보려면 박물관을 가고, 현재를 보려면 시장에 가고, 미래를 볼려면 도서관을 가라는 말이 있죠. 그래서, 최근에 오픈된 연세대나 성균관대의 도서관을 한 번 방문해보길 바랍니다. 그중 성균관대 학술정보관은 시설, 시스템, 서비스의  3S가 정말 훌륭한 도서관입니다. 성대는 전에 포스팅에서 소개한 것처럼  최신형 도서관을 오픈했습니다. 또한, 도서관 홈페이지도 웹2.0의 트렌드를 잘 접속시켜 목록검색을 다양한 외부 컨텐츠와 매쉬업해서 보여주고 있으며 개인화페이지가 잘 어우러진 새로운 웹2.0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또한,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하여 심도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습니다. 다만, 서비스 페이지가 외부에 공개가 안되어 있어 그동안 궁금했었는데 이번 발표를 통해 살짝 엿볼 수 있었습니다. 분과별 토의 저는 참고봉사/전산분과에 들어갔습니다. 처음으로 오픈스페이스포럼 방식의 새로운 토론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오픈 스페이스기술은 북미의 조직 전문가인 해리슨 오웬이 커피 브레이크에서 영감을 얻어 틀과 격식을 벗어난 자유로움과 훌륭한 회의 결과를 가져올 수있는 회의 방법으로 창안한 독창적 집단의사결정방법이라고 합니다. 한양대 양주성 선생님의 재미있고 즐거운 오픈닝을 통해서 대강 오픈스페이스포럼을 이해하고 관심주제별로 발제가 이루어져 크게 5개의 조로 나누어져 자리배정을 하고 토론이 시작되었습니다. 일방적으로 주제발표를 듣고 짧은 문답시간을 진행했던 기존방식보다 더 많은 대학도서관 사서들과 얘기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다만, 소극적인 토론문화는 우리가 많이 고쳐나가야할 부분이네요. 2일차 아침을 먹고 주변에 있는 채석강을 산책했습니다. 단층진 해식절벽을 볼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채석강이 강인줄 알았는데 해식절벽이 있는 바닷가라는 걸 알게됐습니다. 도서관 사서가 그것도 모른다고 핀잔을 좀 들었습니다. ㅎㅎ 백과사전을 찾아보니 중국의 이태백이 배를 몰고 나가 음주중에 강물에 비친 달을 따려다가 사고로 사망한 곳이 채석강이라고 합니다. 그곳과 흡사하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산책후에 오전 수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민간포털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 성신여대 박소연 교수님이 국내외 포털사에서 제공하는 전문정보서비스를 비교 소개하는 강연이었습니다. 국외에는 역시 구글, 국내는 네이버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포털과 도서관과의 연계사례는 구글 스칼라와 대학도서관의 연계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우리 도서관에서도 참여하고 있죠. (관련글) Web 2.0과 도서관 블로그 연계 방안 전북대 김용 교수님이 학술 블로그에 관한 발표를 해주셨습니다.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것을 말씀하시다 보니 정신이 없더라구요. 웹2.0과 블로그에 대한 개념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블로그에 대하여 깊이있는 얘기를 기대했는데 좀 아쉬웠습니다. 돌아오면서 내소사 방문 오는 길에 근처 능가산에 자리한 내소사를 잠깐 들렸다 왔습니다. 아름다운 전나무길을 걸어 고풍스런 사찰을 눈에 담을 수 있었습니다. 돌아오는 차안에서는 그동안 친해진 여러 대학도서관 선생님들과 재미있는 담소를 나누느라 지루함없이 올 수가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차량지원을 해주신 libworks 관계자분들게 감사드립니다. 관련글1 : 2008/07/11 - [도서관] - 2008 전국대학도서관대회 참관기 관련글2 : 2007/05/04 - [도서관] - 전국대학도서관대회를 다녀왔습니다.
2009-06-30 15:23
Comment 0
The World's Science All in One Place 과학분야를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는 과학분야 종합검색엔진인 ScienceResearch.com이 더욱 강력해져서 돌아왔습니다. 중요한 과학분야의 논문을 검색하려면 보통 유료의 SCI나 SCOPUS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여기에 빠져있을 지 모를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의 연구성과를 찾고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저 깊은 인터넷 심연속에 당신이 찾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낚시도구가 있습니다. 80:20의 파렛토 법칙을 넘어서 롱테일 저 너머에 있을 틈새같은 다양한 연구성과들을 이 검색엔진을 통해서 찾아보시죠. 400여개의 권위있는 과학기술 정보원에서 원스탑으로 실시간 검색을 해줍니다. 1년내에 1,000개로 정보원을 늘릴 준비를 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10,000개로 늘려 명실상부한 최고의 과학검색엔진을 꿈꾸고 있습니다. 4억8천만개의 과학관련 웹페이지를 검색해주는 Elsevier의 Scirus는 페이지를 돌아다니며 인덱싱을 하는 반면 ScienceRsearch는 실시간으로 각각의 소스에서 검색한 결과를 취합해 보여준다고 합니다. 이 두가지를 잘 활용하면 더 낳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겠죠. 브라우저 프렌들리하게도 IE7과 Firefox의 검색창에 플러그인으로 추가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다음 사이트에서 원하는 검색엔진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검색엔진을 자습할 수 있는 아래 동영상 참고하세요.   검색엔진을 만든 회사(Deep Web Technologies)가 지원하는 다른 검색 포털입니다. Biznar.com - 비즈니스 분야의 무료 deep web 검색 포털 Mednar.com - 의료분야의 의료포털 Scitopia.org - 과학기술 분야 검색 The Science.gov Alliance - 미국 정부의 과학기술 포털 WorldWideScience.org - 세계 과학기술 포털 관련글1 : 2008/07/24 - [Database] - [과학검색엔진] Web Plus! 관련글2 : 2008/04/11 - [Database] - Science Portals around the world ~ 관련글3 : 2007/09/18 - [정보] - Scitopia> Sci&Tech.Research 관련글4 : 2007/06/27 - [정보] - [정보] Global Science Gateway 출처 “Deep Web Tech Relaunches ScienceResearch.com,” http://newsbreaks.infotoday.com/NewsBreaks/Deep-Web-Tech-Relaunches-ScienceResearchcom-54675.asp.
2009-06-25 13:40
Comment 1
[JCR 2008] 연구 분야 저널의 Impact Factor(IF)를 다시 확인하세요. 매년 한국의 여름방학이 시작될 즈음 데이터 업데이트 소식을 들려주는 JCR(Journal Citation Reports)이 사흘 전 2008 edition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포스텍에서는 2000년부터 2008 edition의 JCR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F는 해당 저널의 최근 2년의 논문 수와 피인용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JCR 2008은 2006, 2007 SCI 등재 저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합니다. 따라서 대한금속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처럼 2007년부터 SCI에 등재된 저널은 2010년 여름에나 JCR 2009를 통해 Impact factor 확인이 가능하겠군요. 내가 연구하는 분야의 영향력 있는 저널이 무엇인지 업데이트된 소식을 통해 확인해 보시고, 처음 접근하시는 분은 THOMSON REUTERS KOREA에서 제공하는 한글 PDF 매뉴얼과 아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연관 포스팅] 2009년 2월 JCR이 업그래이드 되었습니다 JCR2007이 나왔습니다. 갱신된 Impact Factor 확인하세요. Impact Factor를 찾아라 [온라인 교육] 내일 오후 5시부터 30분 동안 JCR 2008에 대한 Webex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등록하셔서 수강하시고 해당 데이터베이스 이용에 참고하세요. 온라인 교육 등록하러 가기(클릭)
2009-06-25 09:29
Comment 1
사람이 사람을 만나면 다시 그 사람을 통해 다른 사람을 소개받으면서 발을 넓히게 되죠. 책도 마찬가지로 책이 책을 부르면서 앎을 넓히게 됩니다. 지금 여러분이 방금 책 읽기를 끝내고 다음 읽을 책을 고르는데 망설이고 계신다면 아래 사이트를 이용해보시죠. 책이름과 저자를 입력하면 Amazon과 Librarything 사이트를 통해서 다음에 읽어본 직한 다양한 책들을 소개해준다고 합니다. 영어로 된 자료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쉽네요.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를 다 읽은 분들은 과연 어떤 책들을 소개받게 될까요 ? 여름방학동안 독서를 통해서 더위를 날려보시죠. ( 근데 이 수염난 아저씨는 누굴까요 ? 찾아보니 유명한 영국의 화가인 Charles Lucy라고 하네요. ) 관련글 : 2009/01/08 - [정보] - 독서광을 위한 사이트 50선
2009-06-23 17:21
Comment 0

페이지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