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中UESTC 공동 연구팀, 열증착 공정’으로 P형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 화학공학과 노유진 박사 연구팀이 중국 UESTC 아오리우 교수, 휘휘주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전자기기에 혁신을 가져올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인 '...
전체 기사 보기
[박문정 교수팀, 빠르고 튼튼한 ‘초이온 고분자 전해질 개발’] 전기자동차부터 스마트폰까지 전자기기가 일상이 된 요즘, 더 안전하고 성능 좋은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듯 최근 박문정 교수 연구팀이 배터리의 오랜 딜레마를 해결할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전체 기사 보기
[POSTECH·美IBM 연구팀, 차세대 인공지능 메모리 소자의 숨겨진 작동 원리 규명] AI(인공지능)가 점점 더 똑똑해지는 시대, 이 기술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 지름길이 POSTECH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신소재공학과·반도체공학과 김세영 교수, 곽현정 박사 연구팀이 미국 IBM TJ Watson 연구소 오키 구나완(Oki Gunaw...
전체 기사 보기
[POSTECH 연구진, 신경줄기세포 분열 이상으로 발생하는 '숨겨진 연결고리' 밝혀내]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박상기 교수, 김태경 교수, 김민성 교수 연구팀이 조현병 원인과 발병 과정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이 연구는 조현병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국제 학술지 '사.
전체 기사 보기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박구선)가 지원한 포스텍 이윤태 교수팀의 전립선암 치료 관련 논문이 세계적 학술지 'PNAS' 최신호 게재됐다.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는 '혁신신약 기초기반기술 성과창출지원 사업'으로 이윤태 교수팀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물질 발굴 탐색을 지원해왔다. 이 교수.
전체 기사 보기
[POSTECH·연세대·서울대병원 연구팀, 형광 표지 없이 눈 표면 세포 관찰하는 현미경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기현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 기계공학과 주철민 교수 연구팀,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눈 건강에 핵심적인 세포를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현미경 기술을 .
전체 기사 보기
[POSTECH 장영태 교수팀, 색으로 간암 경계를 그리는 진단·수술 혁신 기술] 간은 영양소를 저장하고 해독 작용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간세포암은 이런 중요한 간을 공격하는 질병으로, 매년 많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간암을 더 정확하게 진단하고, 정확하게 제거하는 새로운 기.
전체 기사 보기
[POSTECH-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나노 주석 입자와 하드카본으로 고출력·고에너지밀도 전극 구현] 전기차에서부터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까지 빠른 충전과 높은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배터리 기술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POSTECH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그 해답이 될 수 .
전체 기사 보기
[POSTECH, 기존 기술 한계 뛰어넘은 ‘NanoDEL’로 항암제·난치병 치료제 개발 속도↑] 화학과·첨단재료과학부·융합대학원 임현석 교수, 서종철 교수 공동 연구팀이 최근 신약 후보물질 발굴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는 나노 기술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미국화.
전체 기사 보기
[POSTECH 연구팀, 모든 코로나 변이 감지 가능한 현장 진단 센서 기술 개발] 코로나바이러스의 끊임없는 변이로 기존 진단 기술의 한계가 드러나는 가운데, POSTECH·아산병원 공동연구팀이 협력하여 모든 주요 바이러스 변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 센서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신소재공학과 오승수 ...
전체 기사 보기
[POSTECH 연구팀, -196 ℃~600 ℃ 강도와 유연성 유지하는 새로운 금속 소재 개발] 최근 신소재공학과·철강대학원·기계공학과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고온에서도, 저온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는 혁신적인 금속 소재를 개발해 우주·항공·자동차 산업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머...
전체 기사 보기
[POSTECH·전북대, 단일 입자 구조에서 연속체 속 속박 상태(BIC)의 비밀을 풀다] 최근 POSTECH·전북대 연구팀이 기존 이론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파동을 완벽하게 가두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지난 3일 물리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스마트폰, ...
전체 기사 보기